[앵커]
이처럼 한반도 긴장이 높아지는 분위기인데, 당장 어떤 일들이 일어날 수 있는지 정제윤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정 기자, 사실상 2018년 평창올림픽 이전 상황으로 돌아갔다고 봐야합니까?
[기자]
네. 일단 평창올림픽 이전 2017년 상황 되돌아보면, 북한이 여러번 ICBM 발사에 이어 6차 핵실험까지 했습니다.
당시 트펌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서로 자신의 책상에 핵단추가 있다며 말폭탄을 주고받는 등 한반도 긴장이 최고조에 이르렀습니다.
북한의 이번 선언으로, 남북관계는 '사실상' 5년전으로 되돌아간 셈입니다.
[앵커]
당연히 그러지 않길 바라지만 일각에선 올해 안에 북한 도발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잖아요. 구체적으로 어떤 도발이 예상되고 있습니까?
북한이 휴전선과 가까운 곳에서 대규모 훈련을 하거나, 북방한계선, NLL에서 포사격 훈련을 할 수 있고, 경비정의 NLL 침범과 같은 해상 도발 또는 무인기 침투 같은 도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즉 북한이 이젠 대놓고 언제든지 긴장 국면을 조성할 가능성이 커진 겁니다.
그러자 공군과 육군등은 어제를 기점으로 전 장병에게 근무복 대신 전투복을 착용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9.19 합의가 사실상 파기 수순으로 가는 게 갑작스러운 일은 아니라고 얘기하죠?
[기자]
우선 우리 정부는 전적으로 북한이 원인을 제공했다는 입장입니다.
북한이 어기는데 우리만 지킬 필요가 있냐는 인식이 정부안에서 힘을 얻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번에 효력 정지 조치가 나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 조치를 사실상 기다렸을 수 있다며 북한에 도발의 명분을 만들어 주게 된 셈이라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이때문에 우리정부도 '파기'라는 단어는 자제하고 있는데요, 오늘 기자들이 당국자에게 북한의 입장에 대해 묻자, "통상적인 남북 합의는 쌍방이 파기에 동의해야 효력이 발생한다"며 "정부는 파기에 동의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즉 9.19 합의 파기 자체는 예상된 수순이었으나 남북 모두 먼저 공식적으로 '파기했다'는 책임은 피하려는 모양새입니다.
정제윤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처럼 한반도 긴장이 높아지는 분위기인데, 당장 어떤 일들이 일어날 수 있는지 정제윤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정 기자, 사실상 2018년 평창올림픽 이전 상황으로 돌아갔다고 봐야합니까?
[기자]
네. 일단 평창올림픽 이전 2017년 상황 되돌아보면, 북한이 여러번 ICBM 발사에 이어 6차 핵실험까지 했습니다.
당시 트펌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서로 자신의 책상에 핵단추가 있다며 말폭탄을 주고받는 등 한반도 긴장이 최고조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2018년초, 북한이 전격적으로 평창올림픽 참석을 계기로 판문점회담 등 두차례 남북정상회담이 열리고 9.19합의도 도출된 겁니다.
북한의 이번 선언으로, 남북관계는 '사실상' 5년전으로 되돌아간 셈입니다.
[앵커]
당연히 그러지 않길 바라지만 일각에선 올해 안에 북한 도발이 다시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잖아요. 구체적으로 어떤 도발이 예상되고 있습니까?
[기자]
북한이 휴전선과 가까운 곳에서 대규모 훈련을 하거나, 북방한계선, NLL에서 포사격 훈련을 할 수 있고, 경비정의 NLL 침범과 같은 해상 도발 또는 무인기 침투 같은 도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즉 북한이 이젠 대놓고 언제든지 긴장 국면을 조성할 가능성이 커진 겁니다.
그러자 공군과 육군등은 어제를 기점으로 전 장병에게 근무복 대신 전투복을 착용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앵커]
전문가들은 9.19 합의가 사실상 파기 수순으로 가는 게 갑작스러운 일은 아니라고 얘기하죠?
[기자]
우선 우리 정부는 전적으로 북한이 원인을 제공했다는 입장입니다.
다만, 지난해 5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초기부터 우리 정부는 '9.19 합의' 폐기를 주장해 왔기 때문에, 이번 조치는 어느 정도 예상된 수순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북한이 어기는데 우리만 지킬 필요가 있냐는 인식이 정부안에서 힘을 얻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번에 효력 정지 조치가 나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 조치를 사실상 기다렸을 수 있다며 북한에 도발의 명분을 만들어 주게 된 셈이라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이때문에 우리정부도 '파기'라는 단어는 자제하고 있는데요, 오늘 기자들이 당국자에게 북한의 입장에 대해 묻자, "통상적인 남북 합의는 쌍방이 파기에 동의해야 효력이 발생한다"며 "정부는 파기에 동의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즉 9.19 합의 파기 자체는 예상된 수순이었으나 남북 모두 먼저 공식적으로 '파기했다'는 책임은 피하려는 모양새입니다.
정제윤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