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개방 요금제 23일 도입
KT도 연내 공개…LGU+ 검토 돌입
이번 달부터 5세대(5G) 단말기로 롱텀에볼루션(LTE) 요금제를 쓸 수 있게 됐다. 정부의 국민 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에 따라 5G 요금제를 사용하려면 5G 단말기를 구입했어야 했던 강제성이 해제되면서다. SK텔레콤(SKT)을 시작으로 KT도 이같은 개방 요금제를 연내 선보인다. LG유플러스는 심도 있는 검토에 들어갔다.
SKT는 23일부터 5G·LTE 요금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편한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SKT 가입자는 휴대전화 단말 종류 관계없이 5G·LTE 요금제 가입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LTE 요금제를 원하는 고객이 5G 단말로 휴대전화를 바꾸더라도, 별도 절차 없이 기존 LTE 요금제를 그대로 쓸 수 있다. 반대로 LTE 단말기 사용자도 5G 요금제 선택이 가능해진다.
기존에는 5G 단말기로 LTE 요금제를 쓰려면 몇 단계 절차에 따라 유심 기기 변경을 하거나, 자급제 5G 단말을 구매해야 했다.
SKT가 5G 단말기와 LTE 요금제 벽을 허문 주요 이유는 정부의 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 기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신사에 가입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를 부여하는 내용을 담은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추진하는 한편, 법 개정 전에 자발적으로 개선 조치에 나서는 방안을 이통3사와 협의해 왔다. SKT는 발 빠르게 이용약관 개정과 전산시스템 개발을 마치고, 선제적으로 요금제를 개편하기로 했다.
KT도 5G 단말로 LTE 요금제에 가입하거나, LTE 단말에서 5G 요금제에 쓸 수 있도록 요금제를 손질하고 있다. 출시 시기는 올해는 넘기지 않을 전망이다. LG유플러스도 같은 요금제를 검토 중에 있다.
5G와 LTE 간 벽이 허물어지면서 소비자 선택권은 다양해지지만, 이통사는 웃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5G 서비스 상용화 4년 만에 가입자 수가 3000만명을 돌파하면서 고속 성장을 누렸지만, 한계점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LTE로 이동하는 5G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이통사가 설비투자 등에 들인 초기비용을 회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비용 회수가 어려워지는 건 수익성은 나빠진다는 의미다. 반대로 LTE 가입자가 5G로 이동하면 다소 나아질 수 있지만, 결과를 예견하기는 쉽지 않다.
이통사 관계자는 "재무적 영향을 단기적으로 예단하기는 어렵다"면서 "고객의 사용패턴 변화와 경쟁·시장 환경 등을 고려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단말기에 따른 요금제 선택 제한이 사라진 데 이어 내년 초에는 대대적인 요금제 손질이 이뤄질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8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을 공개했다.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앞으로 5G 요금제도 개편해 내년 1분기부터 시행한다. 현재 4만원대 중후반인 이통3사 최저 구간 5G 요금을 3만원대로 내리고, 30기가바이트(GB) 이하 소량 구간 5G 요금제에 대해 데이터 제공량을 세분화하는 것을 핵심 내용이다.
아주경제=장하은 기자 lamen910@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