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조용준의 여행만리]자세히 보아야 더 어여쁜 고택속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다산 정약용의 숨결 서린 여유당

조선 대학자 윤증의 집 명재고택

성리학 대가 정영창의 일두고택

구름 속의 새처럼 사는 운조루

아시아경제

고즈넉한 장독대와 고택이 잘 어울리는 명재고택의 가을풍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택의 담벼락 너머로 가을바람이 낙엽을 몰고 들어옵니다. 그 뒤를 이어 솟을 대문 문틈 사이로 햇살이 비집고 고개를 내밉니다. 가을의 끝자락입니다. 고택이 품은 이야기 속으로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요. 고택을 따라 사색을 즐겨도 좋고, 조선의 대학자 집에서 하룻밤 머물러도 좋습니다. 옛 자취가 새겨진 너그럽고 포근한 풍경이 마음을 따스하게 합니다. 마침 한국관광공사도 11월 추천 가볼 만한 곳으로 ‘이야기가 있는 고택’을 소개했습니다. 여행지는 ‘정약용의 숨결이 서린 곳, 남양주 여유당(경기 남양주)’, ‘자세히 보아야 더 어여쁜 논산 명재고택(충남 논산)’, ‘정여창 가문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함양 일두고택(경남 함양)’, ‘품이 너른 평온한 집, 구례 운조루(전남 구례)’ 등입니다.

#정약용의 숨결이 서린 곳, 남양주 여유당
다산 정약용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에서 나고 자랐다. 이곳에 그의 숨결이 서린 여유당이 있다. 1800년 정조가 승하하자, 정약용은 고향으로 내려와 사랑채에 여유당(與猶堂) 현판을 걸었다. 여유는 ‘조심하고 경계하며 살라’는 뜻이다. 다산은 조심히 살겠다고 다짐했으나, 이듬해부터 18년 동안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했다.
아시아경제

바깥쪽에서 들여다 본 여유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다산생태공원의 사시사철 산책하기 좋은 공간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향으로 돌아온 정약용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여유당에서 ‘목민심서’,‘흠흠신서’ 등을 정리했다. 선생이 살던 생가는 1925년 대홍수로 떠내려가, 1986년에 다시 세워졌다. 사랑채와 안채로 구성되며, 다산의 성품처럼 소박하다. 여유당 뒤 언덕에 정약용선생묘(경기기념물)가, 언덕 아래 선생이 쓴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이 있다.

여유당과 정약용선생묘가 자리한 정약용유적지를 여행할 때는 배우 정해인이 녹음에 참여한 오디오 가이드를 이용하자. 유적지 운영 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월요일, 1월 1일, 명절 당일 휴관), 입장료는 없다.

정약용유적지 건너편에 실학을 주제로 꾸민 실학박물관이 있다. 다산생태공원은 팔당호를 시원하게 조망하는 곳으로, 반려동물과 산책도 가능하다. 레트로 감성이 물씬 풍기는 능내역이 가까우니 놓치지 말자.

# 자세히 보아야 더 어여쁜 논산 명재고택
아시아경제

명재고택의 문을 열었을 때 누마루의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장독대와 고택이 그림 같은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논산 명재고택(국가민속문화재)은 평생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 연구와 후대 교육에 전념한 조선 대학자 명재 윤증의 집이다. 고택은 안채와 광채(곳간채), 사랑채, 사당으로 구성된다. 보존 상태가 양호한 조선 양반 주택의 가치에 실용성과 과학적 원리가 돋보이는 한옥으로 꼽힌다.

미닫이와 여닫이 기능을 합친 안고지기를 활용한 사랑채, 일조량과 바람의 이동을 고려한 안채와 광채 배치 등 선조의 지혜가 돋보인다. 안채로 들어가는 문 뒤에 내외 벽을 설치하고 벽 아래 틈을 둬 안채 대청에서 방문객의 신발을 보고 안주인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한 점도 눈에 띈다. 인공 연못, 장독대, 고목 등이 운치를 더한다.

후손이 거주하고 있어 지정된 장소 외 출입을 금한다. 고택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오후 4시(하절기 오후 5시까지, 명절 연휴 휴관), 관람료는 없다.

논산 돈암서원(사적)은 조선 중기 정치가이자 예학 사상가 사계 김장생을 기리며 건립했다. 현종 때 사액서원(조선시대 왕으로부터 서원명 현판과 노비·서적 등을 받은 서원)이 됐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된 9곳 중 하나다.

인근 연산역에서 기차문화체험관과 연산역 급수탑(국가등록문화재)을 구경하고, 옛 곡물 창고가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한 연산문화창고도 들러보자.

#정여창 가문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함양 일두고택
아시아경제

함양 일두고택 입구인 솟을대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종이에 충효절의라고 써서 사랑채 방문 위에 붙여 놓은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함양 일두고택(국가민속문화재)은 일두 정여창의 집이다. 성리학의 대가 정여창은 동방오현에 오른 유학자로 평가받는다. 지금 남은 고택은 정여창이 세상을 뜨고 약 1세기가 지나 건축했다. 입구 솟을대문에 정여창 가문이 나라에서 받은 정려 5개가 있다.

사랑채에는 정여창의 후손이 사는 집이란 사실을 말해주는 문헌세가(文獻世家) 편액이 걸렸고, 그 뒤 방문 위에는 충효절의(忠孝節義)라고 커다랗게 쓴 종이가 붙었다. 누마루에서는 마당에 조성한 석가산(石假山) 풍경이 보인다.

이곳 천장 모서리에도 탁청재(濯淸齋) 편액이 걸렸다. ‘탁한 마음을 깨끗이 씻는 집’이란 뜻이다. 사랑채 옆으로 난 일각문을 지나면 여성의 공간인 안채로 연결되고, 곡간과 정여창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 차례로 나온다.

일두고택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함양 남계서원(사적)은 정여창이 세상을 떠나고 그를 기리는 지역 선비들이 세웠다. 남계서원 바로 옆에 문민공 김일손을 추모하는 함양 청계서원(경남문화재자료)이 자리한다. 함양박물관을 방문하면 함양군의 역사와 유물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품이 너른 평온한 집, 구례 운조루
아시아경제

나눔의 미덕을 실천했던 운조루 고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자연과 오롯이 마주하는 천은사 상생의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름 속의 새처럼 숨어 사는 집’이란 뜻을 담은 운조루(雲鳥樓, 국가민속문화재)는 너그럽고 포근한 고택이다. 1776년(영조 52) 류이주가 낙안군수를 지낼 때 지은 집이다. 250년 가까이 잘 보존된 외관은 물론, 고택에 스민 정신이 면면히 전해온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류씨 집안은 타인능해(他人能解)라고 새긴 뒤주에 쌀을 채워 가난하고 어려운 이웃이 가져갈 수 있게 했다. 사랑채와 안채, 행랑채, 사당, 연지로 구성된 고택은 규모가 제법 크지만, 화려한 장식 없이 소박하다. 부드러운 산세가 한눈에 들어오는 사랑채 누마루는 운조루의 백미로, 문인들이 풍류를 즐긴 곳이다. 수분실(隨分室)이라는 현판을 걸어 절제 있는 삶을 지향하고, 굴뚝은 낮게 만들어 이웃을 배려했다.

구례는 맑고 깨끗한 섬진강이 흐르는 도시다. 섬진강어류생태관에서 다양한 민물고기와 멸종 위기종인 수달(천연기념물) 한 쌍을 만날 수 있다. 매월 끝자리 3·8일에 여는 구례5일시장은 갖가지 주전부리를 파는 청년점포가 생기를 더한다. ‘2023~2024 한국관광 100선’에 든 천은사 상생의 길&소나무숲길에서 숲과 저수지를 따라 3km 남짓 걸으며 가을 정취와 깊은 여운을 느껴보자.



조용준 여행전문기자 jun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