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검찰과 법무부

전현직 경찰 고위직 겨눈 '사건 브로커' 검찰 수사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광주 북부경찰서 압수수색

'사건 브로커' 사건 연루 의혹을 받던 전직 경찰 고위 간부가 숨진 채 발견돼 검찰 수사의 향배가 주목됩니다.

어제(14일) 오후 실종 신고된 치안감 퇴직자 A 씨가 오늘 오전 경기 지역의 한 야산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전남경찰청장을 지내고 치안감에서 퇴직한 A 씨는 최근 '사건 브로커'에 연루된 의혹을 받아왔습니다.

'사건 브로커' 수사는 광주·전남 지역에서 다년간 수사기관에 영향력을 행사한 성 모(62) 씨를 검찰이 구속 기소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성 씨는 경찰 고위직·검찰 인맥을 내세워 수사·인사 청탁을 하거나, 지자체 입찰 공사 수주에도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2020~2021년 가상자산 사기범(별도 구속 기소) 등으로부터 수사기관 청탁을 대가로 다른 공범과 함께 고가의 외제 차 등 18억 5천400만 원을 받은 혐의가 적발돼 구속 기소됐습니다.

성 씨를 구속한 광주지검 반부패강력수사부는 성 씨가 수사기관을 상대로 다년간 다수의 청탁을 한 정황과 증거를 확보하고 전 현직 경찰, 검찰 관계자를 상대로 후속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검찰은 금품을 받고 전남 지역 단체장의 선거법 위반 사건 등에 대한 수사 기밀을 유출한 혐의 등으로 검찰 수사관 2명을 입건하고 이 중 1명을 구속했습니다.

경찰을 상대로 한 수사도 본격화했습니다.

SBS

광주경찰청 압수수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통해 증거를 확보한 검찰은 인사 청탁과 수사 청탁 크게 2가지 방향으로 경찰에 대해 수사하고 있습니다.

수사 청탁과 관련해 과거 가상자산 사기범 사건을 취급한 광주경찰청 직원들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했고, 소환 조사를 순차적으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성 씨 측으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전직 경무관을 구속했는데, 해당 경무관은 가상자산 사기범 사건을 취급한 서울청에서 수사부장을 거쳐 수사 청탁 관련 수사로 분류됩니다.

주목받는 것은 인사 청탁 관련 수사입니다.

검찰은 경찰 인사 청탁 관련해 광주경찰청·전남경찰청 소속 승진자를 수사 대상에 올려 압수수색·소환 조사하고, 인사 브로커 행위를 한 혐의로 전남청 경감 퇴직자를 구속했습니다.

특히 인사 청탁 주요 수사 대상이 경정·경감급 등으로, 이들의 승진은 치안감급 지방청장이 결정 권한을 갖고 있어서 검찰 수사가 결국 전·현직 치안감 이상까지 향하리란 예상이 많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의혹의 중심에 있던 전직 치안감 A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법조계에 따르면 A 씨는 최근 검찰로부터 계좌 등을 압수수색 당하고, 출석을 요구받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A 씨 사망에 따라, 혐의가 입증되더라도 A 씨에 대한 사건은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 처리될 예정입니다.

주요 수사 대상자가 사망했는데도 광주지검은 '사건 브로커' 사건에 대해 수사가 진행 중인 사안이라는 이유로 사실 확인조차 거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 씨를 통해 수사·인사 청탁에 관여한 것으로 거론되는 다수의 전 현직 경찰 고위직들에 대한 수사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연합뉴스)

류희준 기자 yooh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