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서울대 대학원 인권 실태...“의대·간호대 인권 침해 비율 높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서울대학교 정문. /서울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 의대·간호대 등 의학계열 대학원생들의 인권 침해 경험 비율이 다른 계열보다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대학원생들의 노동 조건이 열악하다는 사실도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서울대 인권센터와 사회발전연구소(연구책임자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지난해 11월 22일부터 12월 21일까지 약 한 달간 서울대 대학원 재적생 및 수료생 1715명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응답자 1715명 중 인문사회예술계는 497명(29%)으로 가장 많고, 자연계 429명(25%), 공학계 326명(19%), 전문대학원 314명(18%), 의학계 149명(9%)이 뒤를 이었다.

의학계 대학원생은 4명 중 1명(24.8%)이 ‘서울대 대학원 재학 중 폭언, 욕설을 들었다’고 응답해 전체 평균(15.6%)을 상회했다. 다른 계열은 자연계 18.9%, 공학계 14.4%, 전문대학원 13.7%, 인문사회예술게 12.1%다.

기합, 구타 등 신체적 폭력을 경험하거나 위협을 받은 비율도 의학계가 7.4%로 전체 평균(2.5%)의 약 세 배였다.

‘갑질, 집단 따돌림, 배제, 소외 등을 당한 적이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있다’고 답한 비율도 의학계가 23.5%로 가장 높았다. 자연계(15.4%)도 평균(13.4%)을 웃돌았다.

의학계 재학생 중 표현의 자유와 사생활의 자유를 침해 당했다고 느낀 비율은 각각 36.9%(전체 22.4%), 27.5%(전체 19.3%)였다. 전공과 출신학부 등에 대한 혐오 표현을 겪은 사람도 21.5%로 전체 평균(13.7%)보다 높았다.

대학원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대학원생의 노동 환경도 열악했다. 노동 경험이 있는 대학원생 5명 중 1명(18%)이 수당, 노동 시간 등 노동 조건을 사전에 고지 받지 못한 채 일했다고 답했다. 구두로만 노동 조건에 대해 고지 받은 대학원생도 33%였다.

대학원에서 일한 적 있는 대학원생 중 절반 이상인 55%가 사전에 고지 받은 노동 조건과 실제 업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대학원생의 휴가 사용도 제한적이었다. 노동 경험이 있는 대학원생 중 65%가 휴가 이용에 있어 불편함을 느꼈다고 답했다.

연구소는 “교수가 대학원생의 연구 지도, 졸업, 취업 등에 절대적 영향을 행사하기 때문에 직접적 인권침해를 당해도 문제제기를 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위계적 구조의 부정적 영향력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개입과 교수들의 인권감수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했다.

[정해민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