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북극 최대 북그린란드 빙붕, 1978년 이후 35% 녹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수㎞ 크기 빙산이 바다로 밀려 나가고 있는 북그린란드 자카리에 이스트룀 빙하

북극을 덮고 있는 빙상(ice sheet)이 바다로 밀려드는 것을 막고 있는 대형 빙붕(ice shelf)인 북그린란드 빙붕들의 부피가 1978년 이후 3분의 1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그르노블 알프스대 로맹 밀란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8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북그린란드 빙붕 부피가 1978년 이후 3분의 1 이상 감소했고, 가장 큰 원인은 주변 해수 온도 상승으로 빙붕 바닥이 빠르게 녹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그린란드 빙붕은 북극 빙하가 바다로 녹아내리는 것을 막는 '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 지역 빙하는 1980년 중반 이후 약화하기 시작한 다른 극지 만년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그린란드 얼음이 녹는 것은 현재 해수면 상승의 17.3%를 담당하고 있지만, 빙붕이 계속 약화할 경우 빙하가 녹아 바다로 밀려드는 양도 증가해 해수면 상승이 더 빨라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과학자들은 북그린란드 빙하가 모두 녹으면 해수면이 2.1m 추가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북그린란드의 현장 관측 데이터와 항공 사진, 위성 데이터, 지역 기후모델 등을 결합해 빙하-기후-해양의 상호작용을 분석, 대륙 빙하와 주변 빙붕의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북그린란드 빙붕들이 녹아 빠르게 후퇴하고 있으며 지난 45년간 전체 부피의 35%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면적도 1978년 5천386.6㎢에서 2013~2022년 3천305.8㎢로 38.6%가 줄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북그린란드에 있는 빙붕 8개 가운데 3개는 2000년대 이후 완전히 붕괴했으며, 남은 5개도 크기가 계속 빠르게 줄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빙붕이 줄면서 주변의 대륙 빙하가 계속 불안정해지고 있다며 바다가 계속 따뜻해지면 빙하가 바다로 밀려들어 심각한 해수면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거대한 빙산이 떨어져 나가고 있는 북그린란드 자카리에 이스트룀 빙하

빙붕이 사라지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해양 온난화로 인해 빙붕 바닥의 얼음이 빠르게 녹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습니다.

또 빙붕이 줄면서 빙하가 육지 쪽으로 후퇴하고 바다로 밀려드는 얼음이 증가하는 것도 확인됐습니다.

연구팀은 향후 해양 열 순환 예측 결과 빙붕들이 녹는 속도는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북그린란드 빙붕이 완전히 붕괴하면 그린란드빙하의 안정성이 깨지고 해수면 상승도 극적으로 빨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진=Romain Millan 제공, Anders Bjørk, 2016년 8월 사진,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