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진실규명 앞장 ‘시대의 큰 어른’ 윤공희 대주교 백수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주전남김대중재단 7일 광주에서 백수연 개최

1980년 광주대교구장 재직당시 광주현실 전달


한겨레

백수(白壽)를 맞는 윤공희 대주교가 지난해 5월3일 전남 나주시 광주가톨릭대학교 주교관에서 <한겨레>와 인터뷰를 하며 활짝 웃고 있다. 나주/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 진실규명에 앞장섰던 ‘우리 사회의 큰 어른’ 윤공희 대주교의 백수연이 열린다.

광주전남김대중재단은 7일 오전 11시 광주 라마다호텔프라자 충장호텔 12층 대연회장에서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백수연을 연다. 이 단체는 “백수연은 민주주의와 자유, 인권을 위해 헌신해온 윤 대주교의 탄생 100돌을 축하하기 위해 마련한다”고 밝혔다.

윤 대주교는 1924년 11월 평안남도 진남포에서 태어나, 출생 하루 만에 유아세례를 받고, 빅토리노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함경남도 원산의 덕원신학교를 마치고, 50년 월남했다. 이탈리아 로마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윤 대주교는 1963년 로마 바티칸에서 주교 서품을 받고, 초대 수원교구장을 맡아 10년간 봉직했다. 1973년 광주대교구장으로 부임한 윤 대주교는 1980년 5월19일 서울에서 김수환 추기경을 만나 계엄군의 과잉진압 등 상황을 가감 없이 전달했다. 5·18 이후에도 윤 대주교는 5·18 당시 군인들이 시민들을 학살했던 장면이 담긴 사진 300여장을 실은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발행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등 5·18 진상규명을 위해 헌신했다.

한국 천주교 생존 주교 가운데 최고령인 윤 대주교는 2000년 광주대교구에서 정년을 맞아 은퇴했고, 올해 10월20일 광주대교구청 성당에서 ‘윤공희 대주교 주교성성 60주년 축하미사’를 봉헌한 바 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후원하기]
▶▶지구를 위해! [겨리와 함께 줍깅] 신청▶▶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