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美 금리 상승에 따른 증시변동성, 정점 지나고 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안타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미국의 금리 상승으로 증시 변동성이 확대하고 있지만 불확실성은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진단이 나왔다. 변동성도 정점을 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1일 민병규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증시를 둘러싼 불확실성은 완화되고 있고, 지난주 미국채 선물에 대한 투기적 순매도 포지션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미국 증시의 변동성도 정점을 지나고 있다”라고 판단했다.

금리 상승에 따른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지속하고 있다. 지난 30일 기준, 뉴욕 3대 지수는 3개월 연속 월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다우 지수의 올해 초 이후 수익률 역시 하락 전환했다.

민 연구원은 “미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은 4.9%로 시장 기대치인 4.5%를 웃돌았다”면서도 “중동 지역의 불확실성이 더해진 기대인플레이션 역시 급등하면서 경제의 활력은 증시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올해 하반기 미국의 국채금리는 장기물을 중심으로 상승했고, 이는 기간프리미엄 상승이 주도하고 있다. 다만 미국 국채의 기간프리미엄 상승을 야기한 변수인 △미국 재무부의 대규모 채권 발행 △일본은행(BOJ)의 수익률 곡선제어(YCC) 수정 △미국 신용등급 강등 등들과 관련한 불확실성은 상당 부분 해소되고 있다는 판단이다.

지난 31일 BOJ는 YCC 허용 범위를 ‘1% 초과 용인’으로 확장했다. 일본 국채의 상대적인 투자 매력을 높여, 일본계 자금의 미국채 매도로 연결될 위험 요소로 지목됐던 내용이다.

그러나 실상 일본의 미국채 보유 규모는 BOJ의 YCC 정책 수정 이후 증가했다. 작년 일본의 미국채 보유 규모가 급감한 것은 YCC 상한선 방어를 위해 일본 정부가 보유중인 미국 국채를 매도하고 일본 국채를 매수했기 때문이라는 판단이다. 실제 동기간 일본의 외환보유고도 크게 감소했다.

민 연구원은 “BOJ의 YCC 허용 범위 확대는 일본 정부의 미국채 매도 수요를 낮추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미-일 금리차를 고려하면 장기 투자자 입장에서도 아직 미국채를 매도할 유인은 크지 않다”라고 주장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게다가 미국 재무부가 4분기 국채발행 규모를 기존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8520억달러 보다 낮은 7760억달러로 설정했다는 소식도 함께 전해졌다. 역시 기간프리미엄에 반영된 불확실성을 낮추는 변수가 될 것이라는 기대다.

민 연구원은 “최근 미국 증시의 조정은 국채 금리 상승을 반영한 밸류에이션 하락에 있었고, 12개월 선행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장기평균을 하회하는 수준으로 하락했지만 기간프리미엄 상승을 야기한 불확실성은 완화되고 있고, 지난주 미국채 선물에 대한 투기적 순매도 포지션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미국 증시의 변동성도 정점을 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