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녀가 없는 30대 여성이 늘어나면서 30대 여성 전체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덩달아 늘어나는 ‘저출산의 역설’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전체 경제활동 참가율을 견인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동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일·가정 양립과 출산율 제고 정책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30일 ‘30대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의 배경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급증이 자녀를 가진 30대 여성 비중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경제활동 참가율이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를 모두 포괄하는 비율로 실업률과 상관없이 일하려는 의지가 있는 인구 비율을 뜻한다.
올해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지난 9월 누적 평균 69.5%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3년 57.0%에서 10년 만에 12.5%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30대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93.2%에서 91.1%로 낮아진 것과 대비된다.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를 고려하더라도 30대 여성의 증가세는 가파른 편이다. 2018년까지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출산과 육아 영향으로 40~64세 여성보다 낮았으나 2019년 64.1%로 40~64세 여성(63.5%)을 추월하기 시작한 이후 매해 40~64세 여성을 앞질러 왔다.
KDI는 이 같은 가파른 상승세의 배경에는 자녀가 있는 30대 여성 비중의 감소세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KDI가 30~3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상승률인 8.8%를 분석해 보니 자녀가 있는 여성 수 자체가 줄어든 점이 60%, 자녀가 있어도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여성이 늘어난 점이 40%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녀가 2명 이상인 다자녀 여성 비중이 감소한 것이 30~34세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연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장기적으로는 경제 성장세가 둔화되고 연금 및 정부 재정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지원을 지속해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출산율이 함께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종 곽소영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