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소년들’ 정지영 감독. CJ ENM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돌아보고, 옳지 않았던 일에 분노하는 데 실화가 가장 좋은 소재다. 그래서 실화에 자꾸 천착하는 거 같다.”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비판하는 영화를 만드는 데 주력한 정지영(75) 감독이 신작 ‘소년들’로 오는 1일 관객들과 만난다. 강도 살인으로 몰려 억울한 옥살이를 했던 3명의 소년이 겪은 1999년 삼례 나라슈퍼 사건을 영화화했다.
정 감독은 한국 현대사의 실화 사건들을 꾸준히 영화로 옮겨왔다. 앞서 부당 해고를 당한 교수가 사법부를 상대로 한 사투를 소재로 한 ‘부러진 화살’(2012), 외환은행 헐값 매각 사건에 관여한 정부 관리들을 고발하는 ‘블랙머니’(2019)도 이런 사례다.
부조리 들춰내는 영화를 계속해서 만드는 이유에 대해 “내 영화가 반드시 정의라고 진단하지는 않는다. 정의란 사람에 따라, 환경과 세계관에 따라 다르다”면서 “나는 영화를 만들어 내 생각을 보여주고, 관객과 내 생각이 맞는지 토론하는 것”이라 했다.
영화는 전북청 수사반장 황준철(설경구)이 제보 전화를 받은 뒤 우리슈퍼 강도치사 사건 재수사에 나서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렸다. 준철은 잘못된 수사를 바로잡고자 고군분투하고, 급기야 사건 진범까지 찾아낸다.
그러나 수사계장 최우성(유준상)과 당시 사건 책임자들 방해로 결국 좌천당한다. 16년 뒤 준철 앞에 사건의 유일한 목격자였던 윤미숙(진경)과 소년들이 다시 찾아오고, 준철은 그들과 함께 재심을 준비한다.
영화 ‘소년들’ 스틸컷. CJ ENM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화를 소재로 했지만, 주인공 황준철은 존재하지 않는 캐릭터다. 정 감독은 “오랜 기간 이어진 사건이어서 시나리오가 복잡했다. 조금 쉽게 설명하려면 힘 있게 끌고 갈 사람이 필요했는데, 당시 2000년 있었던 약촌오거리 살인 사건 재심 결과나 나왔다. 재심에서 이기는 데 파출소장이었던 황상만 씨의 활약이 컸다. 그를 빌려와 주인공 황준철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황 반장 역을 배우 설경구가 맡으면서 영화 ‘공공의 적’(2002) 주인공 강철중을 떠올릴 법하다. 정 감독은 “자신이 몸담은 조직과 싸우는 배짱 있고 거침없는 인물로 강철중이 먼저 떠올랐다. ‘공공의 적’에서 날뛰던 그가 반장이 됐을 때 어떤 모습일까 떠올리며 시나리오를 썼다”면서 “2000년 재수사 과정과 2016년 재심 과정을 오가며 나이 든 파출소장 역할도 함께 해야 했다. 이미지가 다소 겹치는 느낌도 있었지만, 그 변화를 녹일 수 있는 배우로 설경구가 적임이었다”고 했다.
올해 데뷔 40년째, 올해 75세지만 그는 여전히 현역 감독으로 활동한다. 꾸준히 영화를 만드는 이유를 묻자 “나는 허무주의자였다”는 답이 돌아온다. “우리 사회가 앞으로 나아질까 고민해봤는데, 아무리 봐도 나아질 거 같지 않았다. 이런 사회라면 살아서 뭐 하겠나, 차라리 죽는 게 낫지 싶었다”며 “그동안 영화를 만들며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있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래서 그의 영화는 항상 희망을 제시한다. “‘블랙머니’에서도 ‘부러진 화살’에서도 주인공이 모두 졌다. 그러나 그들은 굴하지 않는다. 희망을 품고 부조리한 사회를 적극적으로 살아가는 것, 그게 바로 내 삶의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40년 동안 영화를 만드니 사람들이 나를 ‘사회파 감독’이라 하는데, 부담감과 사명감이 생기고 어깨도 무거워진다. 사실 부담스럽기도 하다”고도 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영화가 사회를 조금이라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에 자부심도 내비쳤다.
“어떤 의사가 베트남전을 소재로 한 ‘하얀전쟁’(1992)을 보고 ‘영화를 보고 삶이 바뀌었다’고 하더라. 미약하게나마 내 영화가 사람들을 변화시킬 수 있구나, 영화의 힘이 이런 거구나 싶었다. 그래서 아마 죽기 전까진 영화를 계속 만들 거 같다.”
김기중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