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시위와 파업

고유가·탄소규제·업황부진에 파업까지…철강업계 복합위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장기 불황의 서막?…中 경기침체에 철강가격 교란·국내 건설경기도 '뚝'

친환경 규제 대응·설비투자 영향 평가해야…포스코, 55년만에 파업 리스크

연합뉴스

한국철강협회, 스틸 코리아 2023 개최
(서울=연합뉴스) 1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스틸 코리아(Steel Korea) 2023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휴스틸 강희웅 상무, S&M 미디어 배장호 사장, 포스코 이유창 상무, 한국철강협회 변영만 상근부회장,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김상협 민간위원장, 현대제철 최일규 상무, TCC스틸 석인국 부사장. 2023.9.12 [한국철강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시장 변화에 직면한 철강업계가 올해 3분기 좋지 않은 성적표를 받았다.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가 저성장 국면에 들어가면서 철강 수요가 쪼그라든 데다, 고유가 현상까지 장기화하면서 철강 시황이 부진을 면치 못한 데 따른 것이다.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이달부터 시행되는 등 탄소중립과 맞물린 환경 규제도 눈앞에 닥친 과제다.

여기에 양대 제철사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파업 리스크까지 겹쳤다.

철강 업계가 안팎으로 복합위기에 처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의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1조1천960억원으로 작년보다 33.3%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냉천 범람으로 인한 기저 효과 때문이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5.5%, 7.7%, 25.0% 감소했다.

국내 1위 제철사인 포스코의 실적 악화는 철강 부문 전체의 시황 부진에 따른 제품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현대제철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현대제철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2천284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8.8% 줄어들었다. 매출과 순이익도 작년보다 각각 10.2%, 51.0% 감소했다.

현대제철은 실적발표에서 "글로벌 철강 시황 둔화로 인한 판매량 감소와 제품가격 하락으로 손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세아베스틸, 세아제강 등도 다음 달 초 줄줄이 3분기 실적발표를 앞둔 가운데 전망은 밝지 않다.

연합뉴스

'H2 MEET 2023'의 포스코 하이렉스존
(고양=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1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수소 산업 전시회 'H2 MEET 2023'의 포스코 하이렉스(HyREX·수소환원제철기술)존 모습. 2023.9.13 winkite@yna.co.kr



철강업계와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철강 업계의 이 같은 실적 부진이 '장기적인 불황의 서막'이란 시각이 있다.

특히 세계 최대 철강 시장이자 공급처인 중국이 코로나 이후에도 투자·소비심리를 회복하지 못한 채 제조업 부진과 건설경기 침체로 이어진 상황과 무관치 않다.

중국의 부동산 경기까지 흔들리면서 중국 내에서 소화되지 못한 중국산 철강재가 수출시장으로 유입돼 철강 가격을 떨어뜨리고 있다.

철강 수요는 건설 경기의 선행 지표로도 통한다.

한국신용평가(KIS)의 '철강: 변화하는 시장과 점증하는 대외 위험'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들어 고층 건물의 건축 착공 면적은 연평균 5천㎡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감소세가 뚜렷하다. 2021년에는 1만㎡를 상회했다.

지난 7월 주택 부문의 철강 누적 수주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감소해 향후 철근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고 KIS 리포트는 예측했다.

고유가와 엔저도 철강업계의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고유가는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철강 산업의 원가 경쟁력을 약화할 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과 고금리를 고착화한다.

이에 더해 엔화 약세로 가격 경쟁력을 얻은 일본 철강사들도 국내 시장과 수출 시장에서 한국 철강 업체들의 업황 부담을 가중하고 있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그래픽]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개요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오는 10월 1일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로 인해 유럽연합(EU)에 시멘트, 전기, 비료, 철 및 철강 제품, 알루미늄, 수소 등 6대 품목을 수출할 때는 EU 측에 탄소 배출량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2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EU 수출액 681억달러 중 CBAM 대상 품목의 수출액은 51억달러(7.5%)였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사실상 '탄소세'라 할 EU의 CBAM이 이달부터 시행되면서 탄소중립 목표는 철강업계의 당면 과제가 됐다. CBAM에 따라 EU 측에 수출품 탄소 배출량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하는 것은 적지 않은 비용 부담을 수반할 전망이다.

무엇보다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철강업계에 '탄소중립'은 기술·경영상 대변혁을 의미하기 때문에 쉽지 않은 도전 과제라고 할 수 있다.

KIS 리포트는 특히 포스코를 겨냥해 "중장기적으로 EU의 CBAM 등 대내외 탄소 규제에 대한 대응 영향을 살펴보고, 친환경 설비 투자 및 공정 개발에서 적시성 있는 성과가 있는지에 대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가뜩이나 업황이 부진한 상황에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노사 간 임단협 진통으로 파업 리스크도 짊어진 상황이다.

특히 포스코의 경우 창사 55년 만에 처음으로 포스코 노조가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오는 30일까지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안이 나오지 않으면 포스코 노조는 파업에 돌입할 수 있으며, 포스코 노조는 28∼29일 조합원 대상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 들어갔다.

wis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