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광주시의회 5·18특위, 민주원로들로부터 고견 청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로들, 5·18특위 활동 적극 응원·지지 표명

광주광역시의회 5·18특별위원회(위원장 정다은 의원)가 민주원로들과 간담회를 갖고 고견을 청취했다.

25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특위 위원들은 간담회에 참석한 원로들에게 5·18특위 출범 배경과 그동안의 활동 사항 등을 소개했다. 이어 원로들로부터 5·18과 특위 활동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고견을 경청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로들은 제9대 의회에서 출범한 5·18 특위의 활동에 적극적인 응원과 지지를 표하며 시민들과 함께 5·18정신을 계승발전 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갈 것을 요청했다.

1~3대 광주시의원을 역임하며 처음으로 5·18특위를 출범시켜 초대 위원장을 맡았던 안성례 전 시의원은 “1992년 엄혹한 시기에 첫 5·18특위를 창립했던 사람으로서 감회가 새롭다”며 “특위 활동이 5월 단체 간의 갈등에 매몰되지 말고 5월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활동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전홍준 광주민주화운동 동지회 고문은 “동학부터 항일운동과 5·18민주화운동은 일맥상통한 발생 배경이 있다”며 “다시는 5·18과 같은 비극이 이 지역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며 특위가 지향해야 할 목표를 제안했다.

1980년 당시 윤상원·박관현 열사와의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지금은 묘지에 누워있다”고 한탄하고 울먹이며 “5월을 넘어 빛나는 도시 광주로 나가기 위한 새로운 비전들을 만들어달라”고 말했다.

김정길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상임대표는 “특위에 젊은 의원들이 많아 광주가 매우 희망적이다”면서 “5·18의 성격 규정과 5·18정신에 대한 개념도 새롭게 정립이 필요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원로들과 5·18특별위원들은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미래세대에게 온전하게 전승해야 한다는 데에 뜻을 함께했다.

정다은 5·18특위 위원장은 “국가 차원의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활동이 올해 종료되는 등 5·18의 미래가 결정되는 심각한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5·18특위에서 ‘진상규명 진단 및 과제’를 주제로 준비했던 제3차 시민토론회가 무산된 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울먹이기도 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안성례 전 광주시의원, 전홍준 광주민주화운동 동지회 고문, 김정길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상임대표를 비롯해 김상윤 윤상원기념사업회 고문, 김후식 전 (사)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회장, 박경린 전 YWCA사무총장, 임추섭 참교육 전교조 창립위원, 서명원 전 인권교육원 이사장 등 8명의 원로가 참석했다.

시의회에서는 5·18특별위원회 정다은 위원장, 명진 부위원장, 이귀순·채은지·안평환 위원 등이 참석했다.

한편, 안성례 전 시의원은 광주광역시의회 첫 5·18특별위원회 활동 당시의 자료를 정다은 위원장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호남취재본부 윤자민 기자 yjm30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