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원화 강세 재료 부재…장중 환율, 1350원 강한 지지[외환분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350~1354원 사이 좁은 횡보세

이스라엘 지상군 투입 초읽기, 중동 확전 공포

연준 위원 “금리인하 내년 말에나 가능”

안전자산 선호에 ‘글로벌 달러 강세’ 지속

외국인 투자자 코스피서 1000억원대 순매도

美 3분기 GDP 4.3% 전망, 환율 상승 요인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50원 초반대에서 좁게 횡보하고 있다.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미국이 탄탄한 경제로 인해 긴축 장기화 가능성 커지면서 원화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번주 미국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예상치를 상회해 미국 경제가 높은 성장을 한다면 환율은 더욱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데일리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동발 유가 상승·고금리 장기화에 ‘강달러’

23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오후 12시 24분 기준 전 거래일 종가(1352.4원)보다 1.25원 오른 1353.65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 종가보다 1.9원 내린 1350.5원에 개장했다. 이후 환율은 1350~1354원 사이에서 좁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이란이 지원하는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 등은 확전 위협 수위를 높였다. 헤즈볼라 서열 2위 나임 깟셈 부대표는 21일 “헤즈볼라는 이미 전쟁 중심부에 들어와 있다”라고 경고했다. 미국은 확전에 대비하기 위해 중동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포대와 패트리엇 미사일 대대 추가 배치를 시작했다. 확전 공포에 국제유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란 우려도 커지며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있다.

연준의 금리 인하는 내년 말쯤 가능할 것이라는 발언이 나오면서 고금리 장기화 전망도 한층 높아졌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를 묻는 말에 “(인플레이션이) 2%에 가까워질 때”라고 답변했다. 구체적 시기를 묻는 말에는 “2024년 말이라고 말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정책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신중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라며 금리 동결을 재차 주장했다.

중동분쟁 확산 우려, 고금리 장기화 우려로 안전자산 선호에 달러화는 강세다. 달러인덱스는 22일(현지시간) 저녁 11시 26분 기준 106.29를 기록하고 있다. 달러·위안 환율은 7.32위안, 달러·엔 환율은 149엔대에 거래되고 있다.

국내은행 딜러는 “1350원 초반대에서는 결제 물량이 나오면서 1350원에 대한 지지선이 굉장히 두터운 느낌”이라며 “외환시장에 원화 강세로 갈 재료가 딱히 없고, 그렇다고 환율이 위로 튀는 상황도 나오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 우위를 보이며 환율 상승을 지지하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1000억원대를 순매도하는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100억원대를 순매수하고 있다.

이번주 美 3분기 GDP·유가·위안화 변수

이번주 미국의 3분기 GDP 성장률, 국제유가, 위안화 등이 환율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26일 미국 3분기 GDP 속보치가 발표된다. 시장 컨센서스에 따르면 전 분기 연율 기준 4.3%로 2분기(2.1%)보다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은행 딜러는 “이번주 블랙아웃(통화정책 관련 발언을 금지하는 기간)이라서 지표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 같다”며 “블룸버그 예측치처럼 4.3%로 성장률이 너무 잘 나온다면 금리인하 기대가 낮아지면서 시장은 더 크게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미국 국채 금리보다 중동 사태 악화 여부에 따른 유가의 추가 상승 여부가 더욱 중요한 변수”라면서 “위안화 추가 약세도 주목해야 한다. 달러·위안 환율이 전고점을 넘어서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환율도 1360원대에 진입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