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네이버, 생성형 AI 검색 환경 최적화한 UX·UI 개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네이버가 생성형 AI 검색 환경을 최적화해 UX·UI를 개편했다./네이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가 올해 5월부터 일부 사용자 대상 순차적으로 테스트한 새로운 검색 서비스 버전의 UX(사용자 경험),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 사용자 대상으로 확대 적용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사용자의 관심사를 기반으로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블록 중심의 에어서치를 바탕으로, 연내 통합검색에도 일부 적용될 생성형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 ‘큐:’의 사용성까지 고려했다.

네이버는 검색결과의 진화와,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방식 등이 변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들을 검색 전반 곳곳에 녹였다.

이번 개편의 골자는 탐색형 검색 경험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검색 흐름을 선보이고, 이미지,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별 특화된 템플릿으로 몰입감 있는 탐색경험 제공을 비롯하여, 생성형 AI 검색에 대한 사용 패턴을 정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정답 → 탐색 → 발견’으로 이어지는 검색결과를 구조화하고, 스마트블록에서부터 생성형 AI 검색 결과까지 유연하게 연결되는 흐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했다.

특히 각 영역에서 전달하는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 등의 크기나 스타일 등 시각 요소 뿐 만 아니라, 표시할 정보량이나 순서 같은 데이터 구성까지 최적화했다.

뿐만 아니라, ‘패션’, ‘맛집’과 같이 시각적인 정보가 주요한 주제의 결과는 이미지를 강조한 구조로 개선했다. ‘경제’, ‘비즈니스’ 분야의 정보 탐색 시에는 텍스트를 우선 보여주는 미리보기를 적용해 핵심 내용을 먼저 파악하고 문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해 만족도를 높였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네이버는 앞서 진행한 사용성 테스트 결과, UX·UI 개편 후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시간과, 탐색 비율과 체류시간이 모두 증가했고, 콘텐츠 클릭 후 빠르게 검색 결과로 돌아오는 비율이 감소하는 등 탐색 품질 및 만족도가 향상됐다고 밝혔다.

향후 네이버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트렌드를 반영하고 탐색 몰입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다양한 UX와 인터랙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연내 통합검색에 적용할 큐: 서비스를 통해 검색 의도에 따른 맞춤형 답변을 요약, 정리한 형태로 제공한다. 쇼핑, 플레이스 등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하여 풍부한 탐색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UX를 선보일 계획이다.

김재엽 네이버 서치 CIC 책임리더는 “생성형 AI 검색으로 진화하며 기존 검색과 다른 사용성을 제공하려면, 기술적 요소 외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최적화된 검색 환경이 함께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네이버 검색은 최신 기술은 물론, 양질의 콘텐츠, 고도화된 UX가 모두 결합된 경쟁력 있는 서비스로 차별화된 사용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탁 기자(kt87@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