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차 ‘범정부 일자리TF’ 개최
"인구 감소 탓 청년 취업자 수 감소, 고용률 봐야"
"기혼·유자녀 여성 고용률 증가 ‘M커브 현상’ 완화"
"다음주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 발표"
서울 광진문화예술센터에서 열린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신청서 및 이력서를 작성하는 구직자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청년(15~29세) 취업자 수가 9월에도 줄어들면서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정부는 청년 취업자 수가 감소한 원인에 대해 전체 청년층 인구가 감소한 영향이 크다며 전년 대비 취업자 수가 아닌 인구를 반영한 고용률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기혼·유자녀 여성의 취업이 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다만 9월에도 청년 고용률은 0.1%포인트(p) 떨어졌고, ‘질 좋은 일자리’로 인식되는 제조업 취업자 수는 9개월 연속 줄었다.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는 13일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제10차 회의를 열고 “고용호조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고용 위험요인을 상시 예의주시하면서 민간 중심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통계청은 이날 9월 고용률과 실업률이 역대 최고,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9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30만8000명 증가한 2869만8000명을 기록했다. 취업자 수는 31개월 연속 증가세다. 고용률은 63.2%로 9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다. 반면 실업률은 0.1%p 하락한 2.3%로 2002년 9월 63만2000명 이후 최저치였다. 보건복지업·숙박음식업 중심으로 고용개선세가 지속되고 건설업 취업자수도 반등한 덕분이라는 게 정부 분석이다.
다만 청년층 취업자 수는 8만9000명 감소하면서 11개월째 감소세를 기록했다. 이에 김병환 기재부 1차관은 “청년 취업자 수는 8만9000명 감소했지만, 고용률은 46.5%로 9월 기준 역대 2위”라며 “청년 고용 여건은 인구감소 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올 들어 8월까지 20~29세 청년 취업자 수가 9만1000명 감소했지만, 인구를 반영한 지표인 고용률은 60.8%로 0.4%p 상승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같은 기간 15~19세 청년 고용률은 0.8%p 떨어졌다. 통계에서 청년은 15~29세를 말한다. 9월 청년(15~29세) 고용률도 46.5%로 0.1%p 떨어져 8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는 또 출산육아기 여성 고용률 증가로 20대에 높았던 여성 고용률이 30대에 하락 후 다시 반등하는 소위 ‘M커브현상’도 꾸준히 완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미혼여성 고용률은 2013년 이후 올해까지 9.9%p 증가한 반면 기혼여성 고용률은 3.8%p 늘어나는데 그쳤다. 하지만 작년부턴 오히려 기혼여성 고용률 증가율이 1.4%p로 미혼여성(1.0%p)을 앞지르고 있다. 유자녀 여성 고용률도 상승세다. 지난 2016~2022년까지 무자녀 여성고용률 증가율은 3.8%p로 유자녀(2.3%p)를 크게 앞섰지만, 2021~2022년 기간을 끊어서 보면 무자녀(1.7%p)와 유자녀고용률(1.5%p)의 격차가 줄었다. 이성희 고용부 차관은 “우리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가 중요하다”며 “6+6 부모육아휴직제 도입, 근로시간 단축기간 확대 등 일·육아 병행 지원을 적극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다음주 비상경제장관회의를 통해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지난 3월과 7월에 이어 인력난을 호소하는 각 지역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 차관은 “8월 기준 빈일자리 수는 22만1000개로 3000개 감소했고, 8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지만 코로나 이전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16개 지자체와 긴밀히 협의해 지역 특성을 고려한 현장감 있는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과 미스매치 해소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fact0514@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