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삼성전자, '조 단위 영업이익' 회복...반도체 드디어 되살아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분기 잠정 영업이익 2.4조원, 전 분기 대비 258% 늘어
감산 등으로 4분기 반도체 시장 수익성 회복 예상
한국일보

11일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조 단위의 분기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부터 시작된 정보기술(IT) 시장의 침체 여파를 완전히 벗지는 못했지만 분기별 영업이익이 1조 원에도 미치지 못하며 부진이 심각했던 상황은 일단 벗어났다는 해석들이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 나오고 있다. 주력 사업인 반도체를 둘러싼 환경이 나아져 4분기(10~12월)부터는 실적 개선이 본격화할 것이란 기대도 있다.

삼성전자는 11일 3분기(7∼9월) 잠정 실적을 발표하면서 이 기간 매출 67조 원, 영업이익 2조4,000억 원을 낸 것으로 집계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하면 매출은 12.74%, 영업이익은 77.88% 줄어들었다. 여전히 반도체를 비롯해 IT산업 전반이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다.

연관기사
•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 2.4조 원..."반도체 바닥은 지난 듯"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01110280002162)


다만 영업이익을 1조 원도 넘기지 못한 올해 1분기(1∼3월)와 2분기(4∼6월)에 비하면 꽤 좋아졌다. 3분기 실적은 2분기 대비 매출이 11.65%, 영업이익이 258.21% 늘었다.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 수준도 웃돌았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최근 증권사들의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은 2조1,344억 원이었다.

"D램은 회복세, 낸드는 아직 부진" 예상

한국일보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체적 사업부별 실적은 이달 말 공개되지만 증권가에선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2, 3조 원대로 상반기보다 적자 폭을 줄인 것으로 보고 있다. DS 부문은 1분기 4조5,800억 원, 2분기 4조3,600억 원 등 상반기에만 총 9조 원 가까이 적자를 냈는데 적자 폭 자체는 축소했다는 관측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수익성 확보를 위해 2분기부터 공식화한 감산의 효과가 발휘되고 인공지능(AI) 개발 열풍 덕분에 고대역폭메모리(HBM)와 차세대 D램(DDR5)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결과다. 다만 D램과 달리 낸드플래시의 경우 수요 부진이 이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함께 메모리반도체 시장을 이끄는 미국 마이크론의 실적이 회복세를 보이는 점도 반도체 시장이 바닥을 쳤다는 의견에 힘을 준다. 마이크론은 최근 공개한 6∼8월 영업실적 D램과 낸드플래시 매출이 이전 분기 대비 각각 3%와 19% 늘었다면서 "산업 전반의 공급 감소가 수익성 회복의 계기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모바일사업, 폴더블폰 출시 힘입어 반도체 적자 상쇄한 듯

한국일보

11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지하에 지난 8월 출시한 갤럭시Z플립5 홍보 사진이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 다른 부문인 모바일사업부와 삼성디스플레이의 실적 호조가 반도체 부문의 부진을 상쇄한 것으로 보인다. 8월 폴더블(접는) 스마트폰인 갤럭시Z플립5·폴드5 출시 효과가 일부 반영되면서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더 나은 실적을 냈을 것이라는 얘기다.

증권가는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확실하게 되살아나는 시점으로 올 4분기를 예상하고 있다. 대신증권은 "3분기 실적 개선 강도가 기대 이하이지만 업황 회복의 가장 강력한 근거인 D램의 계약 가격이 반등할 것"이라며 "4분기에는 D램과 낸드 가격이 한꺼번에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SK증권도 "삼성전자의 2차 감산과 수익성 우선 정책이 메모리 가격 반등을 확실하게 만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삼성전자 주가는 전날에 비해 1.19% 오른 6만8,200원으로 장을 마쳤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