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3 (월)

이슈 대한민국 저출산 문제

[단독] 저출산인데…‘원정 산후조리’ 내몰리는 시군구 100곳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수도권 태부족 조리원 양극화

저출산에 업체 급감, 가격도 급등

2주 이용료 서울 422만원 최고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증가 추세지만 조리원 수는 감소하고, 이용 요금은 지역에 따라 400만원(2주 기준)을 웃돌 정도로 상승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원이 아예 없는 시군구는 총 100곳에 달하는데, 비수도권에 몰려 있어 지역에 따라선 ‘원정 산후조리’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11일 김영주 국회부의장(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지역별 산후조리원 운영 현황 보고에 따르면, 출산율 저하 속에서도 산모의 조리원 이용률은 2018년 75.1%에서 2021년 81.2%로 늘었다. 산모 10명 중 8명꼴이다.

세계일보

경기도 안양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모습.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조리원 수요는 늘고 있는데 반대로 조리원 수는 줄었고 요금은 치솟고 있다. 2019년 전국 541곳이던 조리원은 저출산 여파로 올해 6월 469곳으로 줄었다. 공급이 줄면서 민간 조리원의 경우 2주 일반실 이용 요금이 같은 기간 264만원에서 326만원으로 23% 껑충 뛰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422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세종(372만원), 광주(341만원), 제주(331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상승률이 가장 가파른 곳은 제주(69%, 135만원)와 광주(52%, 116만원) 순이었다.

조리원이 한 곳도 없는 시군구는 비수도권에 쏠려 있었다. 서울과 세종 내 전 지역구엔 조리원이 있지만, 경북(15곳), 전남(14곳), 경남·전북(각 11곳), 강원(10곳), 충남·북(각 9곳) 등 비수도권 광역단체 내 시군구엔 한 곳도 없는 곳이 다수였다.

산후조리 서비스의 수요·공급 불균형과 가파른 요금 인상은 서민과 취약계층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공 산후조리원이 좋은 대안인데 전국에서 18곳에 불과하다.

배민영 기자 goodpoin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