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지난 7월 14일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참석차 방문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양자 회담을 진행하고자 악수를 나누고 있다. 2023.7.14 외교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박진 외교부 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한국의 전략적 자주 강화’를 강조하며 한미일 삼각 협력 구도 강화를 비판한 데 이어 중국 관영매체에서 ‘선의를 양보로 여기지 말라’는 엄포가 나왔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계열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2일 왕 부장과 박 장관의 지난달 31일 전화통화 내용을 소개하면서 “중국은 한국에 대해 정책의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자국 전문가를 인용해 이번 전화통화는 한미일 정상회담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한중 관계에 대한 한국 정부의 불안을 반영한 것이라는 주장하기도 했다.
상하이 대외경제무역대학 한반도연구센터 잔더빈 주임은 왕 부장이 올해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인 한국의 역할을 지지한다고 말한 점을 언급한 뒤 “한중일 메커니즘에 대해 지지를 표명한 것은 한국과의 관계 발전에 대한 중국의 선의를 보여준 것”이라며 “그러나 한국 정부는 이를 양보의 신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되며 민감한 주제에 대해 추가 도발을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 장관은 중국과의 관계 안정화에 대한 한국의 기대를 전달했지만, 중한 관계의 현상 유지에 대해 도발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고 도전한 것은 한국 정부”라고 비판했다.
또 한중 관계는 중국의 핵심 이익인 대만 문제나 남중국해 문제보다 중요하지 않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이 9일 중국 산둥성 칭다오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8.9 외교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왕 부장은 박 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양국 관계가 제3자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발언은 한미일 3국 협력 강화 흐름에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분석된다.
왕 부장은 “중국의 대(對)한국 정책은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며 “양국 관계 발전에는 내생적 동력과 필연적 논리가 있으며 제3자의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혔다.
왕 부장은 이어 “한국이 전략적 자주를 강화하고 각종 역(逆)세계화 조작과 디커플링(공급망 등 분리)을 저지하며 양국 각 분야 호혜 협력을 심화해 양국 인민을 더 행복하게 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그는 또 “중한 양국은 수교의 초심을 굳건히 지키고 우호 협력의 정확한 방향을 견지하며 양국 인민의 상호 이해를 지속적으로 높여야 한다”며 “외부 요인의 간섭을 방지하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선을 긋지 않으며 양국 관계가 안정적으로 멀리 나아가도록 추진해 지속 가능하고 강력하며 긴밀하게 협력하는 30년을 열어야 한다”고 했다.
왕 부장이 ‘제3자’나 ‘외부 요인’으로 특정 국가를 언급하진 않았지만, 이는 미국과 일본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박 장관은 이날 통화에서 “한국은 중국과 함께 긴밀한 고위급 왕래, 대화 소통, 인문 교류 강화, 상호 인식개선,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를 적극 추진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정수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