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배달앱의 높은 수수료를 문제 삼으며 각 지방자치단체가 앞다퉈 내놨던 공공배달앱이 사라지고 있다. 중소 자영업자의 부담을 줄여주겠다던 정책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채 적지 않은 혈세가 낭비됐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시장에서는 소비자가 아닌 공급자 위주로 서비스를 설계한 점이 가장 큰 실패 요인으로 꼽힌다. 공무원 조직 특성상 기민한 변화와 피드백 반영이 필수적인 플랫폼 사업을 시작하는 게 애초부터 무리였다는 지적도 나온다.
━
'배달의 명수'가 시작한 공공배달앱 열풍, 조용히 사라져
━
출시 1년만에 서비스를 접은 대전 공공배달앱 부르심. /사진=대전시 |
31일 업계에 따르면 2021년 1월 선보인 대전 공공배달앱 '부르심'은 같은해 12월부터 운영을 종료했다. 같은 해 론칭한 전남 여수 배달앱 '씽씽여수'는 지난해부터 전남 배달앱 '먹깨비'에 흡수되며 사라졌다. 2021년 3월 출시한 경남 거제의 '거제올거제'는 지난해 12월 경쟁력 저하를 이유로 서비스를 접었다. 2020년 12월 출시한 강원도 배달앱 '일단시켜'도 오는 10월 중단된다.
아직 살아있는 공공배달앱도 점점 고객을 잃고 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국내 최초 공공배달앱인 전북 군산 '배달의 명수'는 출시 직후인 2020년 5월 5만2000명의 MAU(월간활성화이용자)를 기록했으나 올해 7월 1만8000명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의 '배달특급'도 2021년 60만명까지 MAU가 늘었으나 올해 7월 34만명 수준으로 뒷걸음질쳤다.
공공배달앱은 출시 당시부터 세금을 투입해 배달음식 소비자·자영업자의 수익을 보전해주는 게 맞느냐는 비판에 시달려왔다. 다만 코로나 팬데믹 시기를 거치면서 위기에 빠진 자영업자를 도와야 한다는 여론이 우세해 사업을 지속했다. 하지만 공공배달앱들이 연이어 시장에서 퇴출되면서 자영업자를 돕겠다는 본연의 목적도 이루지 못하고, 지자체마다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의 세금을 썼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됐다.
━
시장 필패의 법칙…'공급자 중심 서비스 설계'
━
/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업계에서는 소비자 편익이 아닌, 공급자(자영업자)의 편익을 중심에 두고 설계한 공공배달앱이 성공하기 어려웠다고 입을 모은다. 민간 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수료를 적용해도 정작 소비자들이 공공배달앱을 외면하면서 자영업자들도 이 앱들을 사용할 이유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장님들 입장에선 수수료를 지불하더라도 확실히 손님을 끌어와서 매출을 올려줄 수 있는 배민, 쿠팡이츠, 요기요와 같은 서비스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며 "소비자 입장에선 더더욱 편리하게 많은 식당에서 음식을 빨리 주문해 먹을 수 있는 앱을 선호하다보니 공공배달앱이 설 자리를 잃은 것"이라고 바라봤다.
일부 지자체에선 공공배달앱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화폐를 발급하고, 이를 공공앱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 경우 일시적으로 공공앱을 활성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역화폐를 다 소진한 후엔 더 이상 공공배달앱을 사용할만한 소비자 유인책이 나오지 않은 것도 공공앱의 실패 요인으로 지목된다.
━
"절차 복잡한 공무원조직, 플랫폼 사업에 맞지 않아"
━
공공입찰플랫폼 나라장터. /사진=나라장터 홈페이지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자체가 배달앱과 같은 플랫폼 사업을 너무 쉽게 보고 접근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비스를 설계해 소비자에게 공개한 뒤 피드백을 받아 끊임 없이 고쳐나가는 '애자일'한 과정은 공무원 조직이 소화하기 버겁다는 설명이다. 특히 세금으로 모든 사업예산을 꾸리는 공무원조직에서는 기민한 의사결정이 애초부터 불가능해, 배달앱과 같은 사업을 시작하면 안됐다는 것이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 교수는 "네이버, 카카오의 사례에서 보듯 플랫폼 서비스는 초기에 완성도가 떨어져도 일단 사용자 피드백을 받으면서 패치, 업데이트,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도를 높이는 '실험'이 필요하다는 특성이 있다"며 "우리나라 공공부문에서 뭔가 서비스를 내놓을 때는 높으신 분 보여줄 시연작을 만들어놓고 승인받은 뒤에는 개선되는 부분이 없다"고 짚었다.
전 교수는 "배달앱 안에서도 끊임 없이 새로운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실험을 하는데, 성패 여부가 불확실한 측면이 있다"며 "세금으로 운영하는 지자체는 이러한 불확실성에 예산을 쓴다는 게 쉽지 않고, 기술인력을 자체적으로 보유하지 못해 서비스 제작을 모두 외주에 맡겨야 하고, 이 과정에서 의사결정 절차 등이 복잡해지기에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 요구에 대처하는 데 명확한 한계가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우영 기자 you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