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한중일, 외교 고위급협의 내달 서울 개최 조율…정상회의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日마이니치신문 보도…중국 오염수 방류 반발에 조율 난항 가능성도

연합뉴스

한·중·일 외교 수장들
(자카르타=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박진 외교부 장관(중간),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오른쪽),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7월 13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3.7.13 dwise@yna.co.kr


(도쿄=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 개시 후 중일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한중일 외교당국이 3국 정상회의 개최를 위한 협의를 조율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일본 마이니치신문은 30일 "한중일 3국의 외교부 고위급 실무 레벨 협의가 9월 하순 서울에서 개최하는 방향으로 조율되고 있다"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고위급 실무 레벨 협의는 차관보급으로 개최되며 일본에서는 후나코시 다케히로 외무심의관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니치는 "이 협의에서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 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만 중국이 후쿠시마 처리수 해양 방류에 반발하고 있어 3국 간 조율이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올해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인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전날 "3국은 3국 정부 간 협의체를 조속히 재가동해 나가자는데 공감대를 형성한 바 있다"며 "우리는 연내 정상회의 개최를 목표로 3국 간 협의체 재개를 위해 실무적으로 관련국들과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하기 위한 외교당국 논의는 부국장급 회의와 차관보급 고위관리회의(SOM), 외교장관 회의 등 채널을 통해 이뤄진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2008년 12월 이명박 당시 대통령과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 일본의 아소 다로 총리가 일본 후쿠오카에서 만난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8차례 진행됐으나,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마지막으로 개최된 이후 열리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영향도 있었지만,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둘러싼 한일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일본이 3국 정상회의 추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기 때문이다.

sungjinpar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