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토스 빼고 인터넷은행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이 2분기 소폭 확대됐습니다.

다만 토스뱅크는 인터넷전문은행 3사 가운데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이 가장 컸지만, 전 분기보다 비중이 축소됐습니다.

3사 모두 연말 기준으로 제시한 목표치에는 못 미쳐, 올해 하반기 중·저신용대출 공급을 더 늘려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25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27.7%, 케이뱅크 24.0%, 토스뱅크 38.5%로 집계됐습니다.

이 수치는 은행의 전체 가계 신용대출 잔액에서 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KCB 860점 이하)에 대한 대출 잔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합니다.

금융당국은 지난 2021년 인터넷은행이 중·저신용층에 대한 대출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출범 취지에 맞게 영업하도록 매년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를 정해 공시하도록 했습니다.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1분기 말 25.7%에서 2분기 말 27.7%로 2%포인트(p) 높아졌습니다.

카카오뱅크의 올해 말 목표치는 30%입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상반기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을 1조7천503억 원 공급했다며 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라고 밝혔습니다.

2분기 말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잔액은 3조9천184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1분기 말 23.9%에서 24.0%로 0.1%p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

케이뱅크의 올해 상반기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공급액은 4천640억 원입니다.

케이뱅크의 연말 비중 목표치는 32%로, 6개월 동안 중·저신용 대출 비중을 8%p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케이뱅크는 7월부터 마이너스 통장 대출 대상도 중·저신용자로 한정했습니다.

한편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1분기 말 42.06%에서 2분기 말 38.5%로 3.56%p 낮아졌습니다.

올해 말 목표치는 44%입니다.

정혜경 기자 choic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