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6G 주도권 전쟁

6G 기술 개발사업 예타 통과…”5G 한계 극복할 대역대 개발로 국제표준 특허 30% 확보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과기정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6G(6세대 이동통신) 산업 기술개발 사업’이 4407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6G 상용화 기술과 핵심부품 개발, 2026년 프리(사전) 6G 기술 시연, 6G 국제표준특허 점유율 30% 확보 등의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5G 통신에서 3.5㎓ 대역이 가진 용량 한계와 28㎓의 커버리지 한계를 극복하는 7∼24㎓(어퍼미드밴드) 대역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했다. 최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와 퀄컴, 에릭슨, 노키아 등 세계적인 통신장비 제조사도 6G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이 대역을 주목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7∼24㎓ 대역을 바탕으로 부품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5G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대용량 다출입 안테나 기술(massive MIMO)대비 4배 이상 성능이 높은 초대용량 다출입 안테나 기술(E-MIMO)과 안테나 부품을 제어하는 IC칩을 개발해 6G 서비스의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높은 주파수 활용하면서 발생하는 커버리지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수동형 중계 기술을 토대로 한 현재의 기지국은 주변 고정된 범위의 지상 위주 통신만 가능해 음영지역이 발생하고 있다. 6G에서는 능동형 중계 기술을 활용해 보다 넓은 범위까지 통신이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7∼24㎓대역과 커버리지 확대 기술 외에도 과기정통부는 소프트웨어(SW) 중심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공급망 안보 강화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대부분 외산에 의존하고 있는 기지국, 단말, 광통신 등의 핵심부품의 국산화를 추진, 통신장비·부품의 공급망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연구성과물이 6G 상용화 시기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단계마다 기술을 검증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6년에는 주요국 통신사, 제조사, 표준 전문가, 정부 관계자 등을 초청해 ‘프리 6G’ 기술을 시연한다. 사업 종료 시점인 2028년에는 연구개발 성과물의 통합시스템 시연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 성과물을 국제표준에 반영해 우리나라가 6G 국제표준특허 점유율 30% 이상을 확보하는 데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안상희 기자(hug@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