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7 (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주간증시전망]'中경기둔화+美 금리인상' 우려…불안한 코스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주(21~25일) 국내 증시는 중국 경기둔화와 미국의 금리인상 우려로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코스피 지수는 2504.50에 거래를 마치면서 전주(2591.26) 대비 일주일 만에 86.76포인트(3.35%) 떨어졌다.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도 34.88포인트(3.82%) 내린 877.32에 거래를 마쳤다.

국내 증시 지수가 이처럼 약세를 보인 배경은 중국의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탓이다. 중국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7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은 각각 전년 대비 2.5%, 3.7% 증가하며 두 지표 모두 전월치와 전망치를 하회했다. 더불어 중국은 최근 21.3%까지 치솟은 청년 실업률 발표를 중단한다고 밝혀 경기 불확실성을 더욱 키웠다.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대해서도 의구심이 커지며 시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컨트리가든이 달러채 이자를 지급하지 못하면서 디폴트 우려가 커졌다. 유예기간(30일) 내 이자를 갚지 못하면 공식적으로 파산하게 된다. 또 다른 부동산 개발사인 사노오션도 2024년 만기 예정인 채권 이자를 상환하지 못하면서 중국 부동산 시장 전반에 대한 침체 우려가 급격히 커지면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화되는 모습이다.

나정환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 개발기업 디폴트 우려로 위안화·달러 환율은 연내 최고 수준인 7.34위안, 원·달러 환율도 1340원대까지 도달했다"며 "동시에 중국 경기 둔화 우려에 투자자들의 위험회피(Risk-off) 심리가 강화되면서 주가는 약세 흐름을 보이는 등 단기적으로 중국 부동산 노이즈가 발생할 시, 주가의 하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나 연구원은 "중국 당국이 부동산 기업의 연쇄 디폴트를 막고, 위안화 환율의 약세 흐름을 제지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있다"며 "2015년 위안화 평가 절하 당시에도 인민은행의 개입으로 위안화 약세를 방어한 바 있다"고 상기시켰다. 그러면서 "당국의 개입으로 근본적인 중국 경기가 개선되지는 않겠지만, 중국발 악재로 인한 주가 하방 압력은 차츰 옅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주 주간 예상 코스피 밴드를 2470~2630포인트로 제시했다.

대신증권은 이번 주 글로벌 금융시장이 중요한 변곡점에 위치해 있다고 분석했다. 이경민 연구원은 "현재로서는 코스피 2480선(200일 이평선) 지지력 확보 여부가 관건"이라며 "분위기 반전 트리거는 오는 21일 발표되는 8월 1~20일 한국 수출 모멘텀 회복세, 중국 부양정책 가시화, 미국 경제지표 예상치 하회 등으로, 채권금리 상승세가 제어되고 달러 강세, 위안화 및 원화 약세 압력이 진정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의 국채 금리가 연중 최고 수준으로 높아지면서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우려도 확대되는 분위기다. 이번 주 후반에 예정된 잭슨홀 미팅에서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에 더욱 관심이 쏠린다. 지난 7월 연방공개준비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미 연준위원 대부분이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에 대한 경계감을 내비치며 매파적 의견을 내놨다는 점에서 통화긴축 불확실성이 재부각됐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잭슨홀 미팅에서도 연준의 통화 긴축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금리 및 환율의 변동성을 자극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현재 9월 FOMC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는 '동결 전망'이 여전히 우세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잭슨홀 미팅 이후 9월 금리 동결 전망이 추가로 낮아진다면 국채금리의 상방 위험은 커지면서 고금리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질 수 있다"며 "9월 FOMC에서 통화긴축 불확실성이 완화되기 이전까지는 금리와 환율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