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신흥국은 자국통화로 대외자본 조달 못한다?…한은 "꼭 그렇지 않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경제연구소 '원죄가설' 반박

머니투데이

한국은행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흥국은 태생적으로 자국 통화로 대외자본 조달이 불가능하다는 이론을 반박하는 분석이 나왔다. 신흥국의 채권시장 규모가 커지고 물가안정성이 제고되면서 신흥국 채권시장의 투자매력도가 높아졌다는 것이다.

14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소속 한바다 과장은 인천대 오태희·이장연 교수와 함께 작성한 '신흥국 원죄의 소멸 원인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원죄가설은 1999년 배리 아이켄그린 UC버클리대 교수와 리카르도 하우스만 하버드대 교수가 처음 주장했다. 신흥국은 자국통화로 대외자본 조달이 불가능한 원죄를 갖고 있다는 내용이다. 이 가설은 신흥국의 대외자본 조달의 구조적 취약성을 설명하는 이론으로써 학계와 정책당국에 큰 영향을 줬다.

연구진은 원죄가설이 절대적이지 않다고 반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5~2019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동유럽, 중남미 등 21개국의 국가 간 패널 회귀분석 결과 국채를 중심으로 한 신흥국 채권시장 발달이 선진국이 신흥국 통화표시 채권 투자를 늘린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공공부문 채권시장 규모와 외국인이 보유한 신흥국 통화표시 채권 잔액은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러한 결과는 신흥국 채권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유동성이 좋아지자 신흥국 채권시장의 투자매력도가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2000년 이후 여러 신흥국이 물가안정 목표제를 도입해 물가안정성이 높아진 점도 대외자본의 신흥국 채권시장 유입 확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했다.

연구진은 "신흥국 채권을 보유한 보유 해외투자자들은 해당 국가의 통화가치 변동에 민감해 중앙은행 신뢰성을 중시하게 된다"며 "실증분석 결과 해외투자자들이 물가안정을 통화당국 신뢰성 평가기준으로 삼고 있다는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JP모건이 2005년부터 발표한 정부 채권 신흥국 지수(Government Bond Index-Emerging Markets, GBI-EM)도 글로벌 자본의 신흥국 통화표시 채권에 대한 투자 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 과장은 "자본시장 육성을 통해 유동성을 높이고 물가안정을 통해 중앙은행의 신뢰성을 확보하면 신흥국도 충분히 자국통화로 대외자본을 조달해 원죄 가설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