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풍에도 내수시장의 한계·공연장 부족
작품개발 지원 등 정부 다변화 정책 필요
현재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 중인 뮤지컬 ‘모차르트!’ [연합] |
지난해 한국 뮤지컬 시장엔 전례 없는 ‘사건’이 벌어졌다. 코로나 엔데믹 이후 공연 수요가 폭발하면서 뮤지컬 시장 규모가 4000억원을 넘어선 것이다. 올해 역시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같은 훈풍에도 공연계는 마냥 웃을 수는 없다는 지적이 많다. 내수 시장의 한계, 부족한 공연장의 숫자 등을 이유로 뮤지컬계는 해외 시장에서 활로를 찾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에 따르면, 지난해 뮤지컬 티켓 판매액은 약 4250억원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썼다. 코로나 팬데믹이 한창이었던 지난 2020년만 해도 한국 뮤지컬 시장은 3000억원 대에서 1500억원으로 급락했지만, 2021년 이후 ‘위드 코로나’와 함께 관객도 극장으로 돌아왔다. 올 상반기에도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1~6월 국내 뮤지컬 티켓 판매액은 총 2260억288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828억5738만원)보다 23.6%나 늘었다.
하지만 낙관할 수만은 없다는 게 공연계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신춘수 오디컴퍼니 대표는 “코로나 이전보다 공연시장이 확장된 것이 아니라, 그간 억눌렸던 (공연 관람) 욕구가 폭발하며 발생한 현상”이라며 “올해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 사회적 이슈로 지방을 시작으로 공연 관람과 매출액 감소가 시작됐고, 서울도 영향권에 진입했다”고 말했다.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내수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 역시 뮤지컬 시장의 확대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내 뮤지컬 시장은 1200석 이상의 대극장 작품과 대학로를 중심으로 한 중소극장 작품으로 양분된다. 작품의 편수로 치면 중소형 뮤지컬의 숫자가 압도적이다. 지난해 제작된 2778개의 뮤지컬 중 60~70%가 중소규모 공연장에서 진행됐지만, 실제 뮤지컬 티켓 판매액의 대부분은 1200석 이상의 대극장 작품이 가져갔다. 중소형 제작사의 작품은 수익 창출이 쉽지 않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내수 시장의 한계는 국내 제작사들이 해외로 향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최근 몇 년새 한국 창작 뮤지컬의 해외 진출 사례가 증가할 수 있었던 것은 대형 제작사와 중소 제작사의 ‘투 트랙 전략’이 통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디컴퍼니, CJ ENM 등 대형 제작사들은 ‘자력 갱생’으로 브로드웨이의 문을 두드리고, 중소 제작사는 정부 지원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을 도모한다.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창작 뮤지컬을 지원하는 ‘K-뮤지컬국제마켓’에선 올해도 해외 진출작이 나왔다. 홍컴퍼니의 ‘라흐헤스트’는 오는 10월 브로드웨이에서 열리는 K-뮤지컬 로드쇼에 참가하게 됐다.
이 단장은 “대형 제작사에서 만든 높은 인지도를 담보한 큰 규모의 콘텐츠들이 해외 시장을 개척해 소재와 형태 면에서 다양한 한국 창작 뮤지컬들이 해외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활로를 만들고 있다”며 “자연스러운 윈윈이 뮤지컬 업계에 구축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 지원의 다변화도 필요하다. 현재 정부의 지원은 국내 시장에서 소기의 성과를 달성한 작품을 중심으로 해외 진출을 돕는다. 창작 단계나 진출 이후 정착과 확장을 위한 뒷받침은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다.
지혜원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는 “글로벌 유통을 염두해 작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해외에서 인기를 얻을 수 있는 작품에 대한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해외 제작사들과 꾸준한 네트워크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의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춘수 오디컴퍼니 대표는 “2770여편의 뮤지컬을 365일로 나누면 하루에 7편씩 올라갔다는 이야기”라며 “편수가 많다고 한국 뮤지컬의 활성화라고 할 수는 없다. 이는 기형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눈앞의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제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며 “합리적 지원책을 꾸준하게 이어가야 한국 영화처럼 한국 뮤지컬의 르네상스가 펼쳐질 것이라 본다”고 강조했다. 고승희 기자
sh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