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8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인간문화재 양승희 “영암은 가야금산조의 본향… 명맥 끊길까 걱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야금산조 창안한 김창조 친손녀 김난초에 전수...양승희 유일한 계승자

김창조 기념관 옆 트롯트 기념관서 사설 가야금 교육과정 개설로 갈등 조장

정통 가야금산조 이수하지 않은 어린이...국가문화재청 전수자 취소 우려

“김죽파 선생의 고향 영암은 김창조 가야금산조의 본향입니다. 높은 수준의 예술세계로 승화시킨 가야금산조의 계보를 이어야 하는데 그 명맥이 끊기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인간문화재인 양승희 선생은 3일 세계일보와 인터뷰에서 “130여년 전인 1890년 가야금산조(가야금독주)라는 국악장르를 창안한 김창조는 친손녀인 죽파(竹坡) 김난초(1911~1989)에게 전수했고, 죽파는 저에게 전해 그 명맥을 잇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세계일보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인간문화재인 양승희 선생이 지난 23일 전남 영암군 김창조가야금기념관에 세워진 악성 김창조 선생의 흉상 옆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선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남 영암군 가야금산조 기념관에서 만난 양 선생은 자신을 김창조 가야금산조 한국초연과 김죽파 산조의 현존하는 55분 가야금산조를 초연한 유일한 계승자라고 소개했다. 그는 “매주 토·일요일이면 지역의 어린이, 청소년 등 30여명의 가야금 꿈나무들이 예술을 전수받기 위해 비가오나 눈이오나 이 곳을 찾는다”며 영암군이 국내 유일의 가야금 산조 본향이 된 것은 순전히 김창조(1856~1919) 선생의 피나는 노력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일흔을 훌쩍 넘긴 그의 왼손바닥 검지와 중지는 가야금을 켜는 명주 실에 짓눌러진 굳은살이 그대로 박여있었다. 그는 “유네스코에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가야금산조 음악을 등재하기 위한 서류를 최근 개인 자격으로 제출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1999년 ‘김창조 산조 CD’를 출판하고, 2001년부터 영암에서 산조축제-학술대회를 시작했다.

그러나 지금 그 명맥이 중단될 위기에 있다고 한탄했다. 인터뷰 도중 양 선생은 눈물을 글썽이면서 김죽파류 가야금산조의 명맥을 잇지 못할까 걱정했다.

세계일보

양승희 선생이 영암군 내외 어린이·청소년 등 30여명을 대상으로 가야금 전수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가야금산조보존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올해부터 영암군에서 지원하던 강사료 등 가야금 이수 교육 관련 8개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 대부분 취소돼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한 이수 교육이 중단될 위기에 있어요.” “더구나 김창조 기념관 바로옆 건물 트롯트 기념관에 영암군 주최로 저의 교육과 똑같은 날 똑같은 가야금 교육과정을 개설했는데, 책임있는 행정기관으로서 할 일이 아니고, 자칫 갈등 조장과 함께 영암의 가야금산조 본향을 훼손하는 일이지요.”

양 선생은 “정통 가야금산조를 이수하지 않은 어린이들의 경우 국가문화재청 전수자로 등록이 취소될 수도 있다”면서 영암군의 행정처리를 안타까워했다. 한국 전통의 가야금산조를 잇고 있는 인간문화재로부터 제대로 전수받아야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오는 10월 23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예정된 영암 어린이 가야금연주단 공연이 전면 취소된 것은 “전통 가야금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고 아쉬워했다. 그는 “애초 유엔본부에서 유엔군 한국전 참전 73주년 기념-한미동맹을 상징하는 행사로 기획되었다. 성악가 조수미와 함께 기획된 특별 가야금공연 및 어린이 가야금 합주가 어찌된 영문인지 느닷없이 취소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가야금 산조 공연이 현대음악과 어우러져 뉴욕 한복판을 수놓으면 국위선양에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겠어요? 예산 문제인지는 몰라도 모두 취소된 사실을 최근에야 알았어요.” 양 선생은 “영암의 꿈나무들의 유엔 공연은 실력의 급신장과 함께 평생 잊지 못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영암군과 문체부, 대통령실 등 관계 기관이 나서 복원해 달라”고 간청했다.

세계일보

양승희 선생이 가야금산조 창시자 김창조 선생과 그의 손녀인 죽파 김난초 선생을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선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나의 스승 죽파 선생이 타계하시면서 ‘할아버지인 김창조의 악보 원형을 찾아달라’고 당부하셨다”면서 이렇게 전했다. “김창조 선생의 제자 몇 분이 계셨는데 직계 후계자 안기옥(1894~1974)이 광복 직후 월북하는 바람에 김창조 가락의 원형을 남한에선 알 수 없게 되었어요. 수소문 끝에 1990년에야 김진(1926~2007) 옌볜예술학교 교장이 전수자임을 알게 되었고, 968가락이나 되는 가야금 산조 전 바탕에 이르는 악보를 모두 제가 전수받아 천신만고 끝에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 악보를 완성하게 되었어요.”

양 선생의 노력으로 원형이 복원됐고, 190억원을 들여 김창조가야금기념관(2004)도 건립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가야금 산조는 그 시작과 효시를 캐는 데 100년의 세월이 걸린다. 악성 김창조는 갔으나 그가 창조한 정통 가야금 곡조는 시들지 않고 그 손녀인 죽파가 ‘높이나는 새’로 키운 양승희로 인해 치렁치렁한 명률을 절창으로 울리게 될 것”이라고 했다.

영암=김선덕 기자 sdki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