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9 (목)

대환대출 플랫폼에선 일부만 제휴... 자사앱 우대상품 늘리는 시중은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부 의존도 낮춰 고객이탈 차단


플랫폼 종속 우려에 대환대출 인프라 참여에 미온적이었던 시중은행들이 달라졌다. 인프라 출시 이후 고객들이 1금융권 은행에서 주로 이동하자 우리·하나은행 등 금리 혜택을 앞세운 은행들이 고객 유치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중 대환대출 인프라의 금융사 월별 취급 한도를 가장 먼저 소진한 곳은 우리·하나은행이다. 두 은행은 금융당국이 쏠림현상 방지를 위해 설정한 월 333억원 규모의 취급 한도를 4영업일 만에 모두 소진했다.

우리·하나은행은 대환대출 수요를 끌어모으기 위해 금리 우대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리은행은 다른 은행 대출을 자사 대출로 대환할 때 우수 신용등급 고객에게 최초 약정기간 대출금리 0.5%p 추가 우대 혜택을 제공한다. 하나은행은 일반 금융채, 신규 코픽스보다 변동폭이 작아 금리 상승기에 차주 입장에서 절감 효과가 큰 '신잔액 코픽스'를 기준으로 삼는 '하나원큐 신용대출 갈아타기' 상품을 출시했다. 해당 상품의 금리 하단은 4.625%(23일)로 일반 신용대출 금리 하단(5.295%)보다 0.67%p 낮다.

이같이 시중은행이 고객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 이유는 모바일로 이뤄지는 대환대출 인프라의 특성상 비대면 거래가 가장 활성화된 은행 소비자의 이동이 많기 때문이다.

실제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1일 오전 11시까지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이동한 누적 대출자산 규모는 5005억원(1만9778건)에 달했다. 그중 92.3%(건수 기준 82.5%)가 기존 은행 고객이 다른 은행으로 이동한 수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영업점이 없는 인터넷은행이 낮은 신용대출 금리를 통해 기존 고객들을 빨아들일 수 있어 금리 경쟁력을 맞추기 위해 대환대출 맞춤형 상품을 출시 중"이라고 설명했다.

플랫폼 종속 우려에는 제휴 상품을 최소화해 의존도를 낮추고 자사 앱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대처 중이다. 현재 시중은행은 카카오페이 등 대출비교 플랫폼 업체에 모든 신용대출 상품을 취급하지 않고 일부 상품만 노출한 후 고객이 대환대출을 위해 자사 앱으로 방문했을 때 더 많은 상품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은행의 경우 고객이 재직, 소득정보만으로 신용대출 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는 '직장인 신용대출 추천서비스'를 자사 앱인 '원뱅킹'에서만 제공하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