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2030년 전기차 200만대 판매 달성, 109조원 투자"...현대차 중장기 비전 '현대 모터웨이'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장기 전동화 전략 ‘현대 모터웨이(Hyundai Motor Way)’를 공개했다. 향후 10년 간 109조원을 투자해 2030년 전기차(EV) 200만대 판매를 추진한다.

현대차는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2023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현대 모터웨이에 기반한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109조원 중 33%는 전동화 투자비로 책정됐다. 이와 관련해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는 전동화와 미래 기술에 어떤 글로벌 기업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며 “앞으로도 전동화 톱티어 리더십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대 모터웨이 비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전기차를 33만대 판매하고, 2026년에는 94만대, 2030년에는 200만대 판매 달성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인베스터데이에서 제시한 목표보다 2026년, 2030년 목표가 각각 10만대, 13만대 증가한 수치다.

이를 달성하면 현대차·제네시스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올해 8%에서 2026년 18%, 2030년 34%까지 늘어난다. 특히 2030년 미국과 유럽, 한국 등 주요 지역 내 전기차 판매 비중은 절반 이상인 53%에 이르게 된다.

주요 지역별로 2030년 기준 미국에선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53%인 66만대, 유럽에선 71% 수준인 51만대, 한국에선 37% 규모인 24만대의 전기차를 판매할 계획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전략이 현대 모터웨이다. 골자는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도입 ▲전기차 생산 역량 강화 ▲배터리 역량 고도화 및 전영역 벨류체인 구축이다.

2025년 완성될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개발 체계는 현행 플랫폼 중심 개발 체계보다 진보한 형태다. 플랫폼 체계는 동일한 플랫폼을 쓰는 차종끼리만 부품 공용화가 가능하고 공용 부품이 23개 정도지만,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에서는 차급 구분 없이 86개의 공용 모듈 시스템 조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통해 원가 절감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현행 E-GMP의 뒤를 이을 현대차의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 개발은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의 핵심이다. 2세대는 중형 SUV 중심의 E-GMP와 달리 모든 차종과 브랜드를 아우를 수 있는 플랫폼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특히 2세대 플랫폼은 NCM 배터리와 고효율·고출력 모터 시스템 탑재를 비롯해 향후 각형 배터리와 LFP 배터리 적용 등이 다각적으로 추진된다. 아울러 주행거리 확대를 위해 세계 최초로 보조배터리를 이용한 주행 중 충·방전 기술 적용을 위한 기술 확보도 준비 중이다. 배터리에는 인공지능 기반 배터리 관리시스템(BMS)를 탑재해 안전성을 더할 계획이다.

전기차 생산성 강화 차원에서 먼저 현대차는 기존 내연기관 생산라인을 전기차 생산이 가능한 혼류 생산라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우선 추진 중이다. 한달 간 500억원~1000억원이 투입돼 생산 라인 변경 작업이 이뤄진 후 전기차 핵심 생산기지로 탈바꿈한 울산 공장과 아산 공장이 대표적이다.

현대차는 주요 시장에 전기차 전용 공장 설립도 추진 중이다. 2025년 하반기 양산 개시 목표인 미국 조지아 HMGMA(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가 그 예다. 같은 해 울산에서도 울산 EV 전용 공장이 양산을 목표로 건설되고 있다.

주요 지역 별로는 전기차 전환 속도가 빠른 미국에서 현지 공장 EV 생산 비중을 올해 0.7%에서 2026년 37%, 2030년 75%로 확대할 계획이며, 유럽 공장에서는 2023년 7%, 2026년 30%에 걸쳐 2030년 54%까지 전기차 생산 비중을 높일 예정이다. 한국 공장에서는 2023년 14%, 2026년 24%에 이어 2030년에 전체 생산 중 36%를 전기차로 생산할 방침이다.

아직 외부 제조사에 의존 중인 배터리는 현재 남양연구소에 배터리 개발 전문 조직을 구성해 배터리 제조 기술과 차세대 배터리 선행 개발을 비롯한 전문 조직을 운영 중이다. 현대차는 향후 10년 간 배터리 부문에도 9조5000억원을 투자해 배터리 성능 향상과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대외적으론 SK온,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배터리 회사들과 합작법인을 설립해 최고 성능 배터리 확보를 위한 공동 개발을 추진 중이다.

그 일환으로 올해는 SK온과 협업해 자체 설계한 배터리를 탑재한 하이브리드(HEV) 차량을 선보일 계획이다. 다양한 배터리 셀 확보를 위해 2025년에는 공동 개발한 LFP 배터리를 전기차에 최초 적용하고 신흥시장 중심으로 탑재 모델을 늘려갈 방침이다.

또한 유럽 내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도 검토 중이며, 2028년 이후에는 배터리 소요량 70% 이상을 배터리 JV로 안정적으로 조달할 계획이다.

배터리 소재 수급 차원에선 인도네시아 배터리 합작법인을 비롯한 여러 파트너십으로 리튬, 니켈 등 전동화 필수 원소재를 확보하고 있다. 배터리에서 원소재를 추출하는 체제도 구축 중이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이날 행사에선 ▲현대차그룹의 여러 주체가 협업하는 ‘수소사업 툴박스(Toolbox)’ 구축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 및 탄소중립 실현 계획 ▲2023년말 아이오닉5 기반의 자율주행 무인 로보택시 사업 상용화 ▲2021년 인수한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기반의 다양한 로봇 서비스 구체화 등을 중점으로 한 미래사업 계획도 공개됐다.

사업 측면에서 어려움에 처한 중국 사업은 적극적인 수익성 제고에 나선다. 우선 수익성이 낮은 공장 생산을 중단하거나 매각을 추진하고, 중국 내 판매 라인업도 13종에서 8종으로 축소한다. 판매는 제네시스나 팰리세이드 등 고급 SUV 중심으로 재편된다.

현대차는 앞으로도 투자와 수익, 주주환원 사이에 균형을 맞추고, 효율적인 자금 운용을 위해 향후 중장기 자본 운영을 크게 1~3단계로 구분해 진행하기로 했다.

1단계(2023~2025년)는 내연기관과 미래기술 투자가 동등한 수준으로 이뤄진다. 이후 전기차 판매가 확대되고 차세대 EV 플랫폼이 본격 적용되는 2단계(2026~2030년)는 내연기관 투자가 점차 감소되며, 최종 3단계(2031년 이후)부터는 EV와 소프트웨어를 통한 수익이 내연기관의 수익을 초과할 전망으로 내연기관에 대한 투자가 줄고 전동화 및 미래 모빌리티 투자는 보다 확대된다.

서강현 현대차 부사장은 “앞으로도 미래 기술 투자를 비롯해 투자 전략과 수익 창출, 주주환원이란 선순환 구조를 통해 지속 가능하고 신뢰받는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