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국악 한마당

지루한 국악? 편견 깨드립니다…돌아온 '2023 여우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4회째 맞은 국립극장 대표 여름 음악축제

올해 주제 '축제하는 인간'…총 12회 무대

피아니스트 손열음, 첫 국악 협업 도전

"장르 경계 없는 과감한 실험과 도전"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악은 지루하다’는 편견을 깨줄 신명나는 축제가 올 여름 국립극장에서 다시 펼쳐진다. 오는 30일부터 막을 올리는 국립극장 대표 여름 음악축제 ‘2023 여우락 페스티벌’이다.

이데일리

국립극장 ‘2023 여우락 페스티벌’ 기자간담회가 14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열렸다. 박인혜×정연락×최인환 ‘종이 꽃밭-두할망본풀이’ 쇼케이스 장면. (사진=국립극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우락 페스티벌’(이하 ‘여우락’)은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는 의미를 담아 2010년 처음 선보인 축제다. 전통음악과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이 경계 없이 어우러지며 과감한 실험과 도전을 이어왔다. 지난해까지 관객수 총 7만 1000명, 평균 객석 점유율 91%를 기록했다. 국악 공연으로는 이례적인 기록이다.

올해는 대금 연주자 겸 프로듀서 이아람이 예술감독을, 타악 연주자 황민왕이 음악감독을 맡는다. 이아람 예술감독은 지난 14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그동안 여러 질병으로 극장과 페스티벌을 찾기 어려웠지만, 지금은 어느 때보다 열심히 극장을 찾고 있다”며 “이런 분위기를 더욱 불태우고자 올해 ‘여우락’ 주제를 ‘축제하는 인간’으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오는 30일부터 7월 22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하늘극장, 문화광장 등에서 총 12편의 공연이 관객과 만난다. 전통예술 명인들이 빚어내는 신명 나는 무대가 가장 먼저 눈길을 끈다. 개막작 ‘불문율’(6월 30일 하늘극장)은 명창 윤진철과 무녀 김동언이 판소리 강산제 ‘심청가’와 동해안별신굿의 ‘심청굿’을 번갈아 주고 받는 공연이다. 이아람 예술감독은 “판소리와 굿이 하나의 주제로 만나 공연을 꾸리는 것은 처음”이라며 “‘과감한 실험과 도전’이라는 ‘여우락’의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공연이기에 개막작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국립극장 ‘2023 여우락 페스티벌’ 기자간담회가 14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열렸다. 유순자×손영만 ‘추갱지르당’ 쇼케이스 장면. (사진=국립극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남과 호남 지역의 농악을 책임져온 두 명인의 만남에도 관심이 쏠린다. 30여 년을 농악판에서 보낸 유순자, 손영만 명인이 함께 선보이는 ‘추갱지르당’(7월 19~20일 하늘극장)이다. 제목은 경상도 쇠 구음인 ‘추갱’, 전라도 쇠 구음 ‘지르당’을 합친 말이다. 두 명인이 합동 무대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손영만 명인은 “티켓 가격은 3만원이지만, 30만원의 가치가 될 공연을 열심히 준비하겠다”고 각오를 전했다.

‘여우락’은 전통을 기반으로 활동 중인 창작자들에게는 자극과 영감이 되는 무대다. 1인 판소리 창작극 작업을 꾸준히 해온 소리꾼 박인혜는 지화(종이꽃) 작가 정연락, 음악그룹 나무의 대표이자 재즈 탱고 프로젝트 라벤타나 멤버인 최인환과 함께 제주도 무속신화 ‘생불할망본풀이’를 재해석한 ‘종이 꽃밭: 두할망본풀이’(7월 1~2일 달오름극장)를 선보인다. 재즈와 판소리가 만난 이색 1인극이다. 박인혜는 “전통음악 작업을 오래해온 창작자에게 ‘여우락’은 선망의 대상”이라며 “언젠가 한 번 같이 작업해보고 싶었던 아티스트들과 함께 신화가 가진 서사를 판소리의 탄탄함으로 선보이는 한국적인 극(劇)을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세계 무대에서 활동 중인 피아니스트 손열음도 ‘여우락’에 출연한다. 이아람 예술감독과 함께 폐막작 ‘백야’(7월 21~22일 달오름극장)를 꾸민다. 손열음이 국악과 협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아람 예술감독에 따르면 손열음은 10여 년전부터 국립극장 ‘완창판소리’를 보러 다닐 정도로 국악에 관심이 높았고, 이에 ‘여우락’ 출연 제안을 흔쾌히 수락했다. 피아노는 물론 토이 피아노, 하프시코드 등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 새로운 손열음을 만나 수 있는 무대다.

이밖에도 △천하제일탈공작소 ‘가장무도: 탈춤의 연장’(7월 4~5일 하늘극장) △스쿼시바인즈×김보미 ‘신:지핌’(7월 6일 달오름 극장) △프로젝트 여우락 시너지 ‘시너지’(7월 8일 달오름극장) △사토시 다케이시×황민왕 ‘장:단’(7월 8~9일 하늘극장) △더튠×세움 ‘자유항’(7월 12일 달오름극장) △킹 아이소바×느닷 ‘리듬 카타르시스’(7월 13일 하늘극장) △모듈라서울 ‘lull~유영’(7월 18일 달오름극장) 등이 관객과 만난다. 무료 야외공연으로 ‘여우락’ 워크숍이 배출한 신유진, 리마이더스, 저클, 도리 등이 출연하는 ‘여우락 홈커밍’이 펼쳐진다. 티켓 가격 전석 3만원. 예매 및 문의는 국립극장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하면 된다.

이데일리

국립극장 ‘2023 여우락 페스티벌’ 기자간담회가 14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이준, 권설후, 노디, 손영만, 유순자, 이아람 예술감독, 박인건 극장장, 황민왕 음악감독, 김동언, 박인혜, 이주원, 김보미, 목기린. (사진=국립극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