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해수부 "한국 식품 속 방사능 기준, 미국·EU보다 10배 이상 엄격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1년 이래 방사능 검사 3만건...부적격 없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가 우리나라의 일부 방사능 식품안전기준이 국제기준에 뒤처지지 않는다는 입장을 냈다. 외려 미국이나 유럽연합(EU)보다 더 엄격한 기준치를 적용한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설명은 일부 매체가 "후쿠시마원전 오염수 방류를 위한 일부 작업을 일본 정부가 완료하면서 시민들이 공포감에 크게 동요한다"는 취지의 보도를 낸 직후 나왔다.

9일 해수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방사능 안전기준을 세슘과 요오드 농도에 두고 있다. 정부는 "(식품 내 방사성세슘 함량 기준)이 국제기준 대비 10배 이상 엄격하다"며 "이는 미국과 EU보다 더 강력한 기준"이라고 밝혔다.

해수부는 한국의 식품 내 방사성세슘 기준치가 1킬로그램(kg)당 100베크렐(Bq)이라고 밝혔다. 각 1200Bq/kg을 적용하는 미국·EU에 비해 최다함량 기준치가 훨씬 보수적이라는 게 정부 측 설명이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후쿠시마원전 사고로 방사능 유출이 있었던 지난 2011년 이후 생산단계 검사가 3만 건가량 실시됐다. 해수부는 "이 중 부적합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고 밝혔다.

또 "국내해역 92개 정점(조사 지점) 및 생산단계, 유통단계에 걸쳐 수산물을 3중으로 철저히 검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소금·젓갈 등을 대규모로 구매해 비축하겠다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라는 일부 매체의 보도에 대해 "젓갈과 소금을 포함한 모든 국내 수산물은 안전하다"는 입장을 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