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김미영 잡는 김미영’ 금융사 CCO 불러 ‘쓴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김미영 금융감독원 소비자보호처장(소보처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불완전판매 등으로 인한 민원과 분쟁이 여전히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아직 우리 금융산업이 소비자들로부터 충분한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김미영 잡는 김미영’으로 잘 알려진 김미영 금융감독원 소비자보호처장(소보처장)이 8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으로 6개 금융협회 소비자 보호 담당 임원과 42개 주요 금융사 최고고객책임자(CCO)를 불러 모아 소비자 보호가 미흡하다고 꼬집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3월 김 소보처장이 취임한 후 처음 열린 공식 행사다.

김 소보처장은 “금융상품의 개발, 판매, 사후관리 등 모든 단계에서 소비자 보호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금융소비자보호법상 설명의무가 대폭 강화됐지만 형식적으로 필요한 서명을 받는 데 중점을 두는 등 오히려 금융회사의 면책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소비자 보호 장치가 실질적으로 작동하는지 중점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민생금융 범죄에 총력 대응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김 소보처장은 “불법사금융 신고가 지난 2일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6% 이상 늘었으며 가상자산 상담·신고도 현재까지 108건 들어왔다. 불법사금융 광고를 근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머신러닝 방식의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불법사금융 광고를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을 이달 말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회사들은 이상금융거래를 철저히 감시하는 등 금융사기 예방을 위해 적극 노력해 달라. 특히 금융회사나 임직원을 사칭하는 광고 등 불법행위에 대해 적극 수사를 의뢰하는 등 당사자로서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 소보처장은 서울여상을 졸업한 후 한국은행에 입행해 금감원 부원장(소보처장) 자리까지 올랐다. 2021년 불법금융대응단장으로 보이스피싱 단속 및 대응 업무를 담당하며 ‘김미영 잡는 김미영’으로 불렸다.

강신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