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6G 주도권 전쟁

DGIST, 차세대 6G ‘저궤도 위성통신’ 활용기술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이번 연구를 수행한 곽정호(뒷쪽) 교수와 김태연 박사과정생.[DG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곽정호 교수,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최지환 교수 공동연구팀은 차세대 저궤도 위성망 시스템에 활용 가능한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싱 플래닝 및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했다고 8일 밝혔다.

‘저궤도 위성망’이란 300~1500km 궤도에 띄운 위성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구축된 통신망을 말한다. 지상에 세운 기지국에서는 종종 전파가 산이나 건물의 방해를 받는 것과 달리, 저궤도 위성은 인구밀도가 낮아 기지국을 세우기 어려웠던 곳에서도 위성을 띄워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어 차세대 위성통신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위성들이 낮은 궤도에 배치가 되면서, 저궤도 위성 간 링크를 활용해 지상망의 대안으로 위성 네트워크를 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저궤도 위성망은 기지국이 되는 위성이 예측 가능한 궤도로 움직이고, 위성 간 네트워크의 연결이 무선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지상망과 다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6G 시대의 VR/AR, 자율주행 등 늘어나는 데이터 요구량과 다양한 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초고속으로 한 개의 코어 네트워크 인프라로 제공하는 대신, 각각의 독립된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한 뒤 수요자의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특히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플래닝 단계’는 종단 간 연결을 유지해야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에서 슬라이싱 서비스 기간 동안 연결을 확보해두는 단계로, 위성 네트워크에 적용할 때 위성들이 각각 빠른 속도로 지구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위성의 핸드오버까지 고려한 위성 네트워크 슬라이싱 계획 단계를 새로이 정의해줄 필요가 있다.

연구팀은 여러 서비스가 가상화된 시나리오에서 저궤도 위성의 분포 및 이동 특성 및 무선 채널 환경 등의 특성을 활용한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싱 플래닝 기법을 제안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저궤도 위성에서의 핸드오버를 포함한 슬라이싱 플래닝 기법은 스타링크 등의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되어가고 있는 해외에 비해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위성 네트워크 기술을 한단계 진일보시켰다는 의미를 갖는다.

곽정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변화하는 저궤도 위성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라며 “향후 6G 시대의 저궤도 위성에서의 다양한 킬러 어플리케이션 활용의 청사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