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기존 서해위성발사장 2일 모습을 촬영한 플래닛랩스 사진. 자유아시아방송(RFA)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에는 포착됐던 여러대 차량이 사라졌다.[사진 제공 = 플래닛랩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2차 발사 가능성이 제기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차량들이 모두 사라졌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3일 보도했다.
RFA는 지난 2일 민간위성업체 플래닛랩스의 위성사진을 토대로 지난달 31일 18~20대 가량의 차량과 로켓의 운송 수단이 될 수 있는 24m 길이의 차량 등이 포착됐던 해당 발사장에서 차량이 전부 사라진 상태라고 전했다.
미국 민간 위성분석가인 제이콥 보글은 RFA에 “정확히 다음 발사에 어떤 발사대가 사용될지 알 수는 없다”면서 “두 번째 위성 발사체가 이미 조립돼 있다면 금방 발사될 수 있지만 지난 1차 실패로 천리마 로켓의 문제가 드러났기 때문에 문제 복구를 위해 몇 주 더 걸릴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MIIS) 비확산연구센터의 데이브 쉬멀러 선임연구원도 “기존 발사장에는 차량들이 거의 비어 있는 것 같다”며 “북한이 2단계 엔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발사 준비를 고려했을 수도 있지만 정확한 내용은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31일 북한은 발사체를 쏜 지 약 2시간 30분 만에 ‘발사 실패’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조만간 2차 발사에 나서겠다고 했다. 북한이 ‘천리마-1’로 명명한 위성운반로켓의 신형 엔진과 연료에 기술적 결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역시 지난 1일 담화를 통해 “군사정찰위성은 머지않아 우주궤도에 정확히 진입하여 임무수행에 착수하게 될 것”이라며 2차 발사 의지를 재확인했다.
한편, 북한의 2차 발사 시기는 이르면 11일 이전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이 첫 발사에 앞서 국제해사기구(IMO)에 통보한 발사 예고기간의 마지막 날이 오는 11일이기 때문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