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민 토킹
미리엄 테이브스 지음·박산호 옮김|은행나무|328쪽|1만7000원
소설을 각색한 영화 <위민 토킹> 한 장면. 메노파 공동체 두 가문의 여자 8명은 성폭력을 저지르고, 옹호하는 남자들을 용서할지, 싸울지, 마을을 떠날지를 두고 이틀 간 마을 헛간에서 토론한다. 출처: 오리온 영화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기도 없이 사는 이 자치 공동체 주교와 원로들은 범죄자들을 헛간에 몇십 년 동안 가둬놓으려 했지만, 피해자 가족들이 범죄자들을 공격하자 ‘신변 보호’를 위해 공동체 역사상 처음으로 경찰을 불러 넘긴다. 피해자는 안중에 없었다.
“신이 죄를 저지른 여자들에게 준 벌”이라는 2차가해
마을 사람들은 이 강간 범죄를 두고 처음엔 “그들이 저지른 죄 때문에 유령이나 악마가 내린 벌”이라고 믿는다. 범죄 사실이 확인된 이후에도 ‘가해자 중심주의’와 ‘2차 가해’가 이어졌다. 마을 원로들은 강간으로 임신한 여자 배 속에 있는 아이를 “불청객이 남긴 산물”로 표현했다. 불청객은 성폭행 가해자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피터스 주교는 한 피해자에게 “그런 짓을 한 건 악마고, 신이 죄를 저지른 여자들에게 벌을 주는 거”라고 말했다. 강간 폭행을 “여자의 터무니없는 상상”이라고 했다. 항의하고 자해한 뒤 자살한 피해자의 죽음의 이유도 은폐하려 했다.
원로들과 주교는 피해자들에게 ‘용서’도 강요한다. 남자들은 가해자 석방을 위한 보석금을 내러 도시로 떠나는데 그 이유도 “가해자들이 돌아오면, 몰로치나의 여자들에게는 이들을 용서할 기회”가 주어지고, “그래서 모두 다 천국에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주교가 말했다. “만약 여자들이 그들을 용서하지 않는다면, 이 공동체를 떠나 바깥세상으로 나가야 한다.”
1. 아무것도 하지 않기 2. 남아서 싸우기 3. 떠나기
여자들은 그 대답을 준비해야 한다. 남자들이 돌아오려면 이틀의 시간이 남았다. 여자들은 1. 아무것도 하지 않기 2. 남아서 싸우기 3. 떠나기를 두고 투표한다. 여자들은 바깥세상을 하나도 모른다. 읽고 쓸 줄도 모른다. 공동체는 남자아이들에게만 글을 가르친다. 선택지 옆에 각각 ‘텅 빈 지평선’ ‘결투 모습’ ‘말 엉덩이’를 그렸다.
싸우기와 떠나기가 같은 득표수를 기록했다. 남아서 싸우기를 원하는 프리센가의 여자들과 떠나는 편을 선호하는 뢰벤가 여자 8명이 최종 선택을 하러 6월6일과 7일 건초 창고 다락에서 회의를 연다. 할머니부터 손녀까지 3대의 여자들은 모두 피해자이거나 그 가족이다.
여자들은 서로의 발을 씻겨주는 것으로 회의를 시작했다. “예수님이 자신의 때가 온 걸 알고 최후의 만찬에서 제자들의 발을 씻겨준 것처럼, 서로에 대한 우리의 봉사를 표현하는 적절한 상징적 행위”였다. 여자들이 글을 몰라 공동체 남자 교사인 아우구스트가 회의록을 작성한다. 다음은 회의록 내용이다.
여자들이 마을의 동물인지, 동물 같은 대우를 받았는지를 두고 이야기한다. “목소리 없는 여자들”이 소리를 냈다. “몰로치나의 동물들조차 제 보금자리에서 우리 여자들보다는 안전하게 살고 있어.” 여자들은 “몰로치나라는 공동체 자체가 가부장주의 토대 위에 쌓아 올린” 것을 자각한다. “남자들이 우리를 부려먹을 대로 부려먹어서 서른밖에 안 된 여자들의 얼굴은 육십 대처럼 보이고, 자궁이 우리 몸에서 떨어져 나와 티끌 한 점 없는 부엌 바닥에 철썩 떨어져 여자로서의 생명이 끝나면, 우리딸들을 다시 종으로 부리잖아.”
[플랫]뉴욕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조혼, 그곳을 탈출한 ‘어린 엄마’의 한걸음
“우리 딸들을 다시 종으로 부리잖아”
이들은 폭행이 일어날 수 있었던 상황, 범죄를 생각하고, 계획하는 사고방식이 원로들과 주교가 만든 환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한다. 그것은 또 권력의 결과다. “권력을 휘두를 대상이 필요했고 그게 우리가 된 거지. 그들은 자신들의 욕망을 몰로치나 남자들에게 가르쳤어. 몰로치나 남자들은 아주 훌륭한 학생인 셈이지.”
주제는 ‘용서와 복수’로 넘어간다. “천국의 문으로 들어가기 위해 그 남자들을 용서해야 하는지?” 용서하지 않고 공동체를 떠나는 건 파문당하는 것이고 “천국에 있는 우리 자리”를 빼앗기게 되는 것이다. 남아서 싸우면 남자들에게 질 것이고, 반항한 죄, 평화를 지키겠다는 맹세를 깬 죄를 지으면서 더 무력한 존재가 돼 남자들에게 끝없이 복종하게 된다.
반론이 이어진다. “억지로 한 용서가 진정한 용서일까?” “마음으로 용서하지 않는다면 그건 용서하지 않는 것보다 더 큰 죄를 짓는 것 아닌가?”
분노도 터져 나온다. “여기 남아서 놈들의 심장을 다 총으로 쏴버리고 구덩이에 묻고 난 후에 도망치겠어. 꼭 그래야 한다면 신의 분노에 맞서겠어!”
소설을 각색한 영화 <위민 토킹> 한 장면. 메노파 공동체 두 가문의 여자 8명은 성폭력을 저지르고, 옹호하는 남자들을 용서할지, 싸울지, 마을을 떠날지를 두고 이틀 간 마을 헛간에서 토론한다. 출처: 오리온 영화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무엇을 얻기 위해 싸울 것인가
싸운다면, 싸워 이긴다면? ‘여자들과 남자들이 모든 결정을 함께하기’ ‘여자들에게도 생각할 권리를 허용하기’ ‘소녀들도 읽고 쓸 수 있도록 가르치기’ ‘학교에 반드시 세계지도를 걸어서 우리가 세상 어디에 있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하기’ 같은 삶의 조건을 적은 성명서를 먼저 내자는 의견이 나온다. “무엇을 파괴하기 위해 싸우느냐만이 아니라 무엇을 얻기 위해 싸우는지도 알 필요가 있을 것 같아.”
떠난다면? 장점을 정리했다. “우리는 이곳에 없을 것이다. 우리는 안전할 것이다. 우리는 남자들을 용서하라는 요구를 받지 않을 것이다.” ‘평화’와 ‘신앙’을 위한 선택이다. “어떤 폭력이든 정당화될 수 없어. 몰로치나에서 계속 살면, 우리 여자들은 메노파 신앙의 핵심적인 교리를 저버리게 돼. 평화주의라는 믿음 말이야. 여기 계속 있으면, 우리는 알면서도 폭력과 충돌하게 될 거야. 그게 우리가 저지른 폭력이건 아니면 우리가 당할 폭력이건 상관없이 말이야. 우리가 해를 자초하게 되는 거야.”
싸우자는 이도 ‘신앙’을 들어 반대 의견을 낸다. “여기 남아서 싸우면, 우리 아이들을 위해 평화를 쟁취할 수 있을지도 몰라요. 결국엔 말이죠. 공동체는 손상되지 않을 것이고 우리는 세상으로 들어가는 게 아니라 계속 세상으로부터 거리를 둔 채로 남아 있게 될 거예요. 그게 바로 우리 메노파 신앙의 또 다른 핵심이잖아요.”
어디로 갈지, 무엇을 가져가야 할지도 논의 대상이었다. 따라오려는 남자들은? 여자들은 자신들이 떠나면 13~14세의 소년들이 성폭행의 표적이 될까 걱정한다. 한편으로 떠남은 도망이 아닌가 고민한다.
화자는 아우구스트다. 그는 회의록 작성을 마치면서, 여자들이 왜 읽을 수 없는 회의록 작성을 왜 자신에게 맡겼는지 생각한다. 그 이유도 여성들이 추구한 연대의 정신과 이어진다.
“용서는 현상 유지 수단이거나 허락”
캐나다 작가 미리엄 테이브스의 2018년 작이다. 2005~2009년 볼리비아 메노파 공동체에서 일어난 실제 집단 성폭행 사건을 바탕으로 했다. 그는 신념으로 미래를 설계하는 여성들을 그린 소설을 두고 실제 사건에 대한 상상의 응답이라고 했다. 회의록을 통해 생존의 조건을 탐구하고, 가부장제와 권력 문제를 비판하며, 삶의 목적, 사랑과 연대를 역설한다.
어린 시절 메노파 공동체에서 자란 테이브스는 신앙 그중에서도 ‘용서’에 대해 비판적이다. 그는 최근 영국 인디펜던트지와 인터뷰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용서는 종교적 구조이고, 스테이터스 쿠오(status quo, 현상 유지)를 이어가는 수단이다. 우리(메노파) 공동체에서는 용서가 전부다. 하지만 용서는 허락이 될 수 있다.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 것을 뜻할 수도 있다.”
*다음은 미리엄 테이브스가 책 앞에 적은 실제 집단 강간 사건 개요다.
2005년에서 2009년 사이에, 볼리비아의 외딴 메노파 신자들의 공동체에(캐나다의 한 지방 이름을 따서 매니토바 공동체라 부른다) 모여 사는 여러 명의 소녀들과 성인 여성들은 아침이면 머리가 멍해진 채 고통을 느끼며 잠이 깼다. 그들의 몸 여기저기에 멍이 들고 피가 흐르고 있었다. 간밤에 폭행을 당한 것이다. 그 폭행은 유령과 악마의 소행으로 치부됐다. 여자들이 지은 죄 때문에 신이나 악마가 내리는 벌이라고 생각한 사람들도 있었고, 괜히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싶어서 혹은 간통 사실을 감추기 위해 여자들이 거짓말을 한다고 비난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그런가 하면 이 모든 일이 여자들의 터무니 없는 상상이라고 믿는 사람들도 있었다.
마침내 이 마을에 사는 남자 여덟 명이 동물용 마취제를 써서 여자들의 의식을 잃게 하고 강간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2011년 이들은 볼리비아 법정에서 유죄 판결이 나서 중형을 선고받았다. 2013년, 유죄를 선고받은 남자들이 여전히 교도소에 갇혀 있는 와중에도 그와 비슷한 폭행과 다른 성범죄들이 그 마을에서 계속 일어났다. <위민 토킹>은 이 실제 사건들에 대한 소설적 대응이자 여성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행동이다. 미리엄 테이브스
2005년에서 2009년 사이에, 볼리비아의 외딴 메노파 신자들의 공동체에(캐나다의 한 지방 이름을 따서 매니토바 공동체라 부른다) 모여 사는 여러 명의 소녀들과 성인 여성들은 아침이면 머리가 멍해진 채 고통을 느끼며 잠이 깼다. 그들의 몸 여기저기에 멍이 들고 피가 흐르고 있었다. 간밤에 폭행을 당한 것이다. 그 폭행은 유령과 악마의 소행으로 치부됐다. 여자들이 지은 죄 때문에 신이나 악마가 내리는 벌이라고 생각한 사람들도 있었고, 괜히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싶어서 혹은 간통 사실을 감추기 위해 여자들이 거짓말을 한다고 비난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그런가 하면 이 모든 일이 여자들의 터무니 없는 상상이라고 믿는 사람들도 있었다.
마침내 이 마을에 사는 남자 여덟 명이 동물용 마취제를 써서 여자들의 의식을 잃게 하고 강간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2011년 이들은 볼리비아 법정에서 유죄 판결이 나서 중형을 선고받았다. 2013년, 유죄를 선고받은 남자들이 여전히 교도소에 갇혀 있는 와중에도 그와 비슷한 폭행과 다른 성범죄들이 그 마을에서 계속 일어났다. <위민 토킹>은 이 실제 사건들에 대한 소설적 대응이자 여성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행동이다. 미리엄 테이브스
책은 가디언 등 여러 해외 언론에서 ‘올해의 책’으로 꼽혔다. 배우 겸 감독 세라 폴리가 만든 동명 영화는 제95회 아카데미 각색상을 받았다. 소설 화자는 아우구스트(영화 벤 위쇼 분)인데 영화 화자는 뢰벤가의 열여섯살 소녀 아우체(케이트 헤일릿 분)다.
▼김종목 기자 jomo@khan.kr
플랫팀 기자 areumlee2@kyunghyang.com
▶ 삼성 27.7% LG 24.9%… 당신의 회사 성별 격차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