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간) 미 증시는 부채한도 협상이 초읽기에 몰리면서 시장 불안이 커졌고 결국 3대 주요 지수 모두 비교적 큰 폭의 조정을 보이며 하락 마감했다.
이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대비 0.69% 하락한 3만3055.51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12% 떨어진 4145.58로 종료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6% 밀린 1만2560.25로 장을 마쳤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지난 22일(현지시간) 오후, 부채한도 상향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세 번째 만났지만 합의안을 도출하는데는 실패했다.
물론 여전히 미 증시에선 파국의 상황까지 가정하지 않는 분위기이며, 실제로 백악관과 야당인 공화당도 협상 타결에 대한 전제를 확인하고 있다.
전기차, 반도체, 빅테크 등 주요 기술주들은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특히 반도체 섹터는 최근 중국의 ‘마이크론 판매 중단 조치’ 여파가 업계 전체로 번지는 모습이다.
이번주 24일 (현지시간)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는 엔비디아가 1.57% 하락했다. 리피니티브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올 1분기 매출은 65억17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1.4%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편 미국 의회에서는 중국이 마이크론 테크놀러지를 제재한 것을 놓고 강경한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 하원에서는 맞대응 조치로 “중국의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를 제재 기업 명단에 추가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왔다.
인텔(-2.54%), 퀄컴(-1.63%)은 하락했다.
이날 반도체 주가중 주목을 받은 업체는 브로드컴(+1.20%)이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브로드컴과의 협력을 통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5G 무선 칩을 포함해 무선 주파수 부품을 향후 수년간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5G 관련 무선 부품은 브로드컴의 콜로라도주 포트 콜린스를 포함한 여러 미국 시설에서 설계 및 생산될 예정이다.
특히 이 소식이 주목을 끌었던 이유는 애플이 공급망 조달 체계에서 ‘탈 중국’ 정책의 속도와 색채가 더욱 뚜렷하고 확실해졌기 때문이다.
이날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애플의 모든 제품은 이곳 미국에서 엔지니어링되고 구축된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며 “우리는 미국의 미래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국 경제에 대한 투자를 계속 심화시킬 것”이라고 말해, 해석의 여운을 남겼다.
이번 애플과의 연장 계약에 따라 브로드컴 생산 시설을 중심으로 약 11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추가로 생성될 것으로 예상됐다.
계약규모는 정확하기 알려지지 않았으나 외신들은 ‘수십억 달러’로 표현함으로써 물량 자체는 수 조 원 또는 수십 조 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관련 투자은행인 UBS는 애플과 브로드컴간의 연장 계약은 2026년까지이며, 계약 모는 150억 달러 이상일 것으로 추산했다.
당초 애플은, 브로드컴과 150억달러 규모의 기존 무선 주파수 칩 공급 계약이 올 6월 만료되면 해당 계약을 연장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칩을 만들 계획이라고 알려졌지만 이번 연장 계획에 따라 이 시나리오는 더이상 무의미해졌다. 이 발표이후 브로드컴 주가는 4.3% 상승하는 등 급등세를 나타내기도 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애플은 브로드컴으로부터 ‘필름 벌크 음향 공진기(FBAR,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칩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이 칩은 아이폰과 다른 애플 기기들이 모바일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소개했다.
한편 전기차 대표주인 테슬라는 1.64% 하락한 185.77달러로 마감했다. 이날 로이터는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된 ‘모델3’와 ‘모델Y’를 캐나다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보도해 주목을 끌었다.
다만 현재 정확하게 캐나다에서 구입할 수 있는 중국산 테슬라 차량이 몇 대인지, 판매된 차량이 몇 대인지는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