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무장화서 '경제적 강압' 사용 비판…러군 철군에 中영향력 발취도 촉구
중국과 '단절'이 아니고 '위험제거' 표현, EU 입장 반영한 것
20일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주요 7개국(G7) 및 참관국 정상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마크 브라운 쿡 제도 총리, 윤석열 대통령,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아잘리 아수마니 코모로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리시 수낵 영국 총리,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세계무역기구 사무총장. 뒷줄 왼쪽부터 마티아스 코먼 OECD 사무총장,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 총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 사무총장. (G7 2023 히로시마 서밋 제공) 2023.5.20/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이유진 기자 = 일본 히로시마에 모인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중국의 부상하는 군사적, 경제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에 대해 G7 차원에서 역대 가장 강한 표현이 담긴 성명을 발표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1일 보도했다.
전날 발표된 G7 성명은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무장화에서부터 "경제적 강압" 사용에 이르기까지 중국을 비판했다. 또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철군하도록 중국이 영향력을 발휘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G7은 성명에서 "우리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면서 "우리는 무력이나 강압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했다. 또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이 국제사회의 안보와 번영에 필수 불가결하다"면서 "양안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한다"고 했다.
G7은 이날 공동성명에 따르면 G7은 "중국과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우리는 중국과 솔직하게 소통하고 우리의 우려를 중국에 직접 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한다"고 전했다.
FT는 중국에 대한 강경한 입장은 미국과 일본이 지난 2년 동안 다른 G7 국가들과 협력하여 대만 주변에서 중국의 군사 활동과 경제적 강압 사용에 대해 더욱 강경한 어조를 취한 후에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G7은 경제적 측면에선 "우리의 정책 접근 방식은 중국에 해를 끼치거나 중국의 경제 발전과 성장을 방해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아니다"며 중국과 단절(decoupling)이 아니고 위험제거(de-risking)를 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G7은 별도의 성명에서 '경제적 강압'은 "국제질서를 침해하고 궁극적으로 글로벌 안보와 안정을 저해한다"며 "경제 강압에 대한 공동 평가, 대비, 억제 및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경제 강압에 대한 조정 플랫폼'(경제안보협의체)을 출범시켜 협력을 강화하고, G7을 넘어 파트너와의 협력을 더욱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G7은 중국의 엄중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중국 관련 의제를 제멋대로 다루고 중국을 먹칠하고 공격했으며, 중국의 내정을 난폭하게 간섭했다"며 의장국인 일본과 유관 각측에 외교적 항의를 의미하는 '엄정 교섭'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또한 "G7은 홍콩, 신장, 티베트 문제에서 중국에 이래라 저래라 하길 멈추라"며 이들은 내정 문제라고 했다. 또한 G7이 '경제적 강압'을 거론한데 대해서는 "독자제재를 대대적으로 시행하고, 디커플링과 망 단절을 하는 미국이야말로 경제·무역을 정치화하고 무기화하는 진정한 '협박자'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맞받았다.
그러면서 "단절이 아닌 위험제거"라는 G7의 반복된 강조는 중국에 대한 EU식 접근을 수용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allday3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