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물가와 GDP

반도체 수출 부진·고물가 부담…커지는 '상저하저'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반도체 업황 부진이 경제 성장률의 하방 압력으로 장기화하면서 경기흐름이 '상저하고(상반기는 낮고 하반기는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에서 '상저하저'가 될 것이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당초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 역시 자국 내 서비스업에 그치면서 국내외 주요 경제기관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0일까지 반도체 수출액은 19억75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9.4% 줄었다. 지난해 8월(-7.8%) 이후 이달까지 10개월째 수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8.9%에서 올 4월 기준 12.9%로 6.0%포인트 떨어졌다.

반도체 수출이 급감한 배경은 올해 D램 등 제품가격 급락세가 장기화하고 있는 탓이다.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고정거래가격은 2021년 3분기 4.1달러에서 지난달 1.45달러까지 하락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최근 반도체 경기 흐름과 거시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수출 물량이 10% 줄면 국내총생산은 0.78% 줄고, 반도체 가격이 20% 떨어지면 국내총생산이 0.15% 감소한다. 올 하반기 반도체 업황 회복이 지연될 경우 경제성장률이 추가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당장 반도체 수출이 줄면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까지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난달 ICT 수출액은 127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5.9% 줄었다. 디스플레이 30.5%, 휴대전화 41.6%, 컴퓨터·주변기기 66.7%, 통신장비 14.7% 등 각각 감소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도 예상치를 크게 밑돌며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 중국의 리오프닝이 제조업 중심으로 생산과 투자를 회복해야만 한국 수출 역시 회복세를 기대할 수 있으나, 중국이 내수 중심 성장에 그치면서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대중 중간재 수출 비중이 갈수록 줄어드는 것도 문제다. 중국이 자국 내 산업 기술력을 강화하면서 중간재의 자체 생산 비중을 늘려가면서다.

KDI는 이같은 우려를 반영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에서 1.5%로 낮췄다. 하반기 반도체 수요 회복이 가시화되지 않고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투자 부문까지 퍼지지 못하면 우리 경제 회복이 지연이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다.

장기간 지속되는 고물가도 부담이다. 근원물가가 서비스 가격을 중심으로 3.5%의 상승률이 예상되고 인건비, 재료비 등 원가 상승압력으로 하반기 역시 근원물가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인상한 전기, 가스요금 역시 물가 상승 압박을 부추길 수 있다. 정부가 올 2분기 전기요금을 kWh(킬로와트시)당 8원, 도시가스 요금을 MJ(메가줄)당 1.04원 인상하면서 4인 가구 기준 매달 추가 부담해야 할 에너지 요금은 7400원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