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동유럽 국가들, 우크라 곡물 수입금지 철회…EU는 면세 연장(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EU-폴란드 등 5개국 합의 극적 타결…농가피해지원금 1억 유로 추가 지원

우크라 상품 관세 면제 내년 6월까지 추가 연장도 잠정 합의

연합뉴스

수확 작업 중인 우크라이나 농민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동유럽 국가들이 자국 농가 보호를 이유로 도입했던 우크라이나산 농산물에 대한 수입 금지 조처를 철회하기로 했다.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 유럽연합(EU) 부집행위원장은 28일(현지시간) 오후 트위터를 통해 불가리아,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등 5개국과 우크라이나 농식품 수입 관련 합의가 타결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달 중순께부터 우크라이나 농산물 수입을 금지했던 폴란드 등 4개국이 수입 금지를 철회하기로 했으며, 동유럽 5개국에 농가 피해 지원금 1억 유로(약 1천457억원)를 EU 예산에서 추가 지원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밀·옥수수 등 4개 품목의 경우 이른바 안전장치를 예외적으로 적용해 5개국 시장 직접 수출이 아닌 이들 국가를 경유해 제3국으로 수출되는 물량만 유입을 허용하는 데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들은 지난 15일부터 6월 말까지 우크라이나산 농산물에 대한 수입 금지 조처를 잇달아 발표한 바 있다.

세계 최대 농산물 수출국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가 전쟁으로 주요 수출길인 흑해 항구가 사실상 봉쇄되자 기존 농식품 수출물량의 상당 부분을 접경국인 폴란드 등 EU 회원국을 경유하는 우회로로 돌린 이후 각국에서 농민 항의 시위가 확산하는 등 흉흉해진 각국 민심을 달래기 위한 조처였다.

이 문제가 EU 집안싸움으로까지 번지면서 논란이 됐으나, 이날 합의 극적 타결로 상황이 일단락되게 된 셈이다.

이와 함께 올 상반기 EU 순환의장국인 스웨덴 정부는 28일(현지시간) 열린 27개 회원국 상주대표회의 투표에서 우크라이나산 상품에 대한 관세를 중단하는 '일시적 무역 자유화' 조처를 내년 6월까지 유지하는 방안에 합의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당초 이 조처는 오는 6월 5일 만료할 예정이었다.

이번 조처 역시 사실상 우크라이나산 농산물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는 2016년부터 적용된 EU-우크라이나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이미 대부분 상품군에서 면세 혜택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우크라산 곡물 수입에 항의하는 루마니아 농민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다만 EU는 일부 곡물, 축산물, 설탕 등 민감 품목으로 분류되는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수입할당량 및 관세를 유지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인 작년 6월부터 한시적으로 농산물도 관세를 면제해주기로 했다.

이날 투표에서 도출된 잠정 합의는 전쟁이 여전히 진행 중인 만큼 우크라이나 주력 수출 품목인 농산물에 대한 면세 유지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공감대를 얻은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상주대표회의 잠정 합의에 따라 내달 예정된 유럽의회 및 EU 이사회에서 각각 최종 승인을 거치면 연장이 확정된다.

shin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