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국 근원물가 비교
근원물가 더딘이유… 美 노동시장, 韓 유가충격 영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가 둔화되지 않는 것은 지난해 큰 폭으로 상승한 국제유가 영향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가 충격의 영향이 미국의 경우 1년정도 지속되는데 반해 한국은 2년 동안 지속됐다. 국제유가 비용이 다시 상승할 경우 근원물가가 예상보다 오래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2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우리나라와 미국의 근원인플레이션 압력 평가' BOK이슈노트를 발간하고, 노동시장 상황과 인플레이션 압력 세미나에서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 6월 9.1%에서 2023년 3월 5.0%로 9개월간 4.1%포인트(p) 낮아진 반면 근원물가 상승률은 2022년 9월 6.6%에서 2023년 3월 5.6%로 6개월간 1.0%p 줄었다.
한국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22년 7월 6.3%에서 2023년 3월 4.2%로 8개월간 2.1%p 줄었지만 근원물가 상승률은 2022년 11월 4.2%에서 2023년 3월 4.0%로 4개월간 0.3%p 둔화하는데 그쳤다. 무리나라와 미국 모두 근원물가 둔화속도가 더디다는 설명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美, 일자리 수요만큼 공급없어…근원물가 영향
다만 보고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근원물가가 낮아지지 않는 이유가 다르다고 분석했다.
노동시장 긴장도(tightness)가 서비스부문의 근원물가상승률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측정한 결과 미국의 기여도는 36.6%에 달하는 반면 한국은 16.7%에 그쳤다. 한국의 근원물가는 미국보다 노동시장 수급변화와 임금인상에 덜 민감하게 반응했다는 의미다.
통상 늘어나는 일자리만큼 사람이 채워지면 임금인상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한국의 경우 고령층 및 여성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참가율이 늘어나면서 임금인상 압박이 덜했지만, 미국의 경우 늘어난 일자리만큼 사람이 채워지지 않아 임금인상 압박과 근원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韓, 유가상승비용 반영 더뎌…근원물가 둔화속도 낮춰
이에 따라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노동시장 외 그간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이 전가되는 정도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수입물가 상승으로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수입물가상승률은 올해 3월 18.8%로 미국(12.4%)에 비해 높았다. 환율의 영향까지 반영한 원화기준으로 보면 수입물가상승률은 41.7%다.
여기에 수입한 에너지 가격의 상승비용도 소비자가격으로 더디게 전가되는 상황이다. 올해 1월 소비자물가에 반영된 에너지가격 누적 상승률을 보면 미국의 경우 40.8%인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29.5%였다.
근원물가는 농산물이나 석유처럼 가격변동이 심한 품목을 제외한 지수다. 에너지가격이 소비자물가에 더디게 반영되면서, 근원물가에 반영되는 전기, 도스가스요금도 더디게 반영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국제유가가 10%p오를 때 한·미근원물가에 미치는 충격을 분석한 결과 미국은 1년정도 지속한 반면 한국은 2년 가까이 지속됐다. 지난해 큰 폭으로 큰 폭으로 상승한 국제유가의 비용인상 압력이 최근까지 적지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정익 한국은행 물가동향팀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에너지 원자재 가격이 둔화하고 있어 이차 파급영향에 따른 근원물가는 점차 둔화될 것"이라면서도 "다만 소비부진이 완화되고 있는 가운데 유가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경우 근원물가 압력은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