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EU, 이란 히잡시위탄압 8명·이동통신사 추가제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베를린=연합뉴스) 이율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24일(현지시간) 이란내 반정부 시위를 가혹하게 진압하고, 인권 학대를 자행한 이란혁명수비대(IRGC)와 협력기관, 이란의회 소속 8명과 이동통신사 아리안텔(Ariantel)을 추가로 제재했다.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EU 28개 회원국은 이날 룩셈부르크에서 성명을 내고, 이 같은 추가 제재에 합의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전했다.

추가 제재는 이란 정부가 반정부와 비판 여론을 묵살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에 대한 감시 계획을 짜는 데 공헌한 이동통신사 아리엔텔과 이란혁명수비대와 투자 관련 협력기관, 이란의회 의원 등 8명을 겨냥했다.

이들은 EU 입국이 금지되며, EU 내 보유한 자산은 동결된다. EU 기업들은 제재 대상에 대한 자금 융통을 할 수 없게 돼 있다. 이로써 EU의 대이란 제재 대상은 211명과 35개 기관으로 늘어났다.

EU는 이날 성명에서 "이란 당국은 평화로운 시위에 대한 모든 형태의 폭력적인 진압을 중단하고, 비판적 목소리를 묵살하기 위한 임의적 구금을 중단하고 부당하게 구금된 모든 이들을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EU는 또 "이란 당국은 시위자에 대한 사형집행을 중단하고, 사형선고를 취소하는 한편, 모든 구금자에 대한 정당한 법적 절차를 보장하라"면서 "외국 시민에 대한 구금도 중단하라"고 강조했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1979년 이란의 이슬람 혁명으로 집권한 시아파 성직자들의 신정(神政)체제를 보위하기 위해 창설됐으며, 현재 육·해·공군 12만5천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혁명수비대 산하 조직인 바시지 민병대는 지난해 9월부터 이어지는 반정부 시위 진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테헤란을 비롯한 이란 주요 도시에서는 지난해 9월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가 체포돼 경찰서에서 의문사한 마흐사 아미니(22) 사건이 촉발한 광범위한 반정부 시위가 이어져 왔다.

평화시위에 이란당국이 무자비한 폭력진압을 하면서 500여명의 시위 참가자가 목숨을 잃었고, 2만여 명이 체포됐다. 이란 당국은 구금한 시위자 중 40여 명에게 사형선고를 내리고 사형을 집행하고 있다.

yuls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