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2027년까지 자살률 30% 낮춘다…2년마다 정신건강검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10년 주기인 정신건강 검진을 2025년부터 2년 주기로 단축하고 전국 시도에 '생명존중 안심마을'을 조성하는 등 대책을 펴기로 했습니다.

자살유발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자살자의 유족을 종합적으로 지원합니다.

정부는 오늘(14일)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열어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년)'을 확정했습니다.

기본계획은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2021년 26.0명에서 2027년 18.2명으로 30% 줄이겠다는 목표를 내놨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자살자 수는 1만 3천352명에 달합니다.

2021년 한국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수는 OECD 표준인구로 보정하면 23.6명인데, 이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으며, 평균 11.1명의 2배를 훌쩍 넘는 수준입니다.

정신건강 검진 빈도와 범위도 대폭 넓히기로 했습니다.

20~70대를 대상으로 10년마다 실시하는 정신건강 검진을 신체건강 검진과 동일하게 2년마다 하는 것으로 바꾸고, 검사 대상 질환도 우울증에서 조현병, 조울증까지로 확대합니다.

검진에서 위험군으로 판단되면 정신건강의학과 등에 연계해 조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로 했습니다.

2년 주기 정신건강 검진은 2025년부터 20~34세 청년층에 우선 도입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지역에서 각자 특성에 맞는 자살예방정책을 직접 수립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경찰청이 자살 사망자 정보를 자살이 급증하는 지역에 제공하면 해당 지역은 맞춤형 자살예방대책을 수립해 자살 확산 방지에 나서도록 할 계획입니다.

또 전국 17개 시도에 생명존중 안심마을을 조성합니다.

청소년이 많은 신도시에는 '학생 마음건강 마을', 어르신이 많은 농촌에는 '어르신 마음건강 마을', 아파트 지역은 '생명사랑 아파트' 등을 운영합니다.

이들 마을에서는 자살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기관에 연계하는 생명지킴이가 활동하며 주민 동아리가 생명존중 캠페인, 유해환경 개선 등의 활동을 하게 됩니다.

17개 광역 자살예방센터 내 심리부검 전담인력을 배치하고 자살유발정보에 대한 감시 활동도 강화합니다.

모니터링 전담인력과 조직을 확충해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신고·수사 의뢰하는 체계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재난 발생 시에는 시도 위기대응체계를 가동해 재난 피해자의 정신건강 관리를 돕습니다.

트라우마센터가 초기 상황에서 대응한 뒤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자살고위험군을 2년간 분기별로 모니터링할 예정입니다.

자살 시도자나 유족의 경우 일반인보다 자살위험이 높은 만큼 상담·치료 지원 통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위험군 치료비를 지원하고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를 9개 시도에서 전국 17개 시도로 확대합니다.

법 개정을 통해 국가, 지자체, 각급 학교에 생명존중 인식교육 의무를 부여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이번 대책에는 초안에 담겨 논란이 됐던 번개탄 생산 금지 관련 내용은 빠졌습니다.

대신 번개탄과 관련해서는 유해가스 저감 번개탄 개발을 추진하고, '비진열·용도 묻기' (판매대에 진열하지 않고 판매 시 용도를 묻도록 하는) 캠페인을 벌이겠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진정제·수면제 등 새로운 자살수단을 자살위해물건으로 지정해 자살유발을 목적으로 판매하거나 활용정보를 유통할 경우 형사처벌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OECD 최악'이라는 오명을 불식시킬 정도의 획기적인 정책은 눈에 띄지 않는다는 평가입니다.

기존 정책을 확대·강화하는 수준인 데다 사회 전반의 근본적 변화 없이 단기간에 '자살률 수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캠페인성 대책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비진열·용도 묻기' '생명 지킴이' 등의 캠페인은 '탁상공론'식 대책이라는 지적입니다.

생명존중 안심마을의 경우도 사업 추진 방안이 구체적이지 않고 주민들의 '자발적인' 활동이 실제 자살률 하락으로 이어질지 효과성을 담보하기 어렵습니다.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오히려 2~3년이 지나서 자살률이 급격히 오르는 경향이 있는데, 코로나19 발생 상황을 고려하면 향후 수년간은 오히려 자살률이 오를 가능성도 크다는 지적입니다.

정부는 지난 4차 기본계획에서도 자살률을 2017년 24.3명에서 2022년 17명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내세웠으나 결국 자살률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김광현 기자(teddykim@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