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빈곤통계연보’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한국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미만인 비율)은 15.3%였다. 가처분소득은 개인소득(근로·사업·재산·공적이전소득) 중 세금 및 보험료 등을 제외, 소비 ·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상대 빈곤율이 15.3%였다는 것은 2020년 당시 월 소득이 237만4587원(4인가구 기준) 미만인 가구가 이 정도를 차지했다는 얘기다.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상대 빈곤율은 전체 가구의 3.1배인 47.2%인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1인가구의 절반 정도는 월 87만8597원 미만의 가처분소득만 갖고 있었다는 뜻이다. 이 같은 1인가구 빈곤율은 그나마 2016년(54.0%)보다 완화한 것이다. 전체가구보다 높은 1인가구 빈곤율은 65세 이상 노인과 여성들이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기준 독거노인 빈곤율은 72.1%였고, 여성 1인가구 빈곤율은 55.7%로 남성(34.5%)보다 훨씬 높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독거노인에 이어 1인가구의 연령대별 빈곤율은 중년(50∼64세) 38.7%, 청년(19∼34세) 20.2%, 장년(35∼49세) 19.5% 등의 순으로 높았다.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은 해마다 증가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5년 전체가구의 20% 수준이었던 1인가구는 2021년 716만6000가구로 전체의 33.4%를 차지했다. 2050년 1인가구 비중은 4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구수 이외 인구유형별 2020년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은 장애인(39.5%), 노인(32.7%), 여성가구주(32.6%), 한부모가구(22.4%)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취업자(10.3%), 아동(9.8%), 청년(8.2%) 등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한편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2012∼2021년) 분석 결과 전체 국민 중 자산 상위 10%는 전체 자산의 40.8%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상위 9분위와 8분위는 각각 17.9%, 12.6%를 차지했다. 전체 자산의 71.3%가 상위 30%에 몰려있는 셈이다.
자산 기준 빈곤율은 29.2%였다. 자산 기준 빈곤율은 2017년 29.3%, 2018년 28.8%, 2019년 28.9%, 2020년 29.2% 등 지난 5년간 큰 변동이 없었다. 순자산 기준 지니계수(계층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값이 ‘0’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에 근접할수록 불평등하다)는 순자산 기준으로 2017년 0.554에서 2021년 0.569로 다소 악화했다.
송민섭 선임기자 stsong@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