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유국 감산에 유가 들썩…전기 등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도
기준금리 이달 동결 가능성…한미 금리차에 유가 변수로 예단 어려워
서울 명동 거리 |
(세종=연합뉴스) 신호경 박용주 기자 =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 초반까지 둔화했지만, 근원물가가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여기에 주요 산유국들의 전격적인 추가 감산 조치, 공공요금 추가 인상 가능성까지 겹치면서 앞으로 물가 움직임을 예단할 수 없게 됐다.
고물가 국면이 예상보다 길어지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 스텝도 꼬일 수 있다는 것이다.
◇ 근원물가 4.8% 상승…전체 물가 역전
통계청이 4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를 보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가 4.8% 상승했다.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4.2%보다 0.6%포인트 높았다.
근원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높은 것은 2021년 1월 이후 2년여만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둔화하고 있으나 물가의 기조적 흐름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다른 각도로 보면 석유류 가격이 전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다.
3월 석유류 가격은 1년 전보다 14.2% 내리면서 전체 물가 상승률을 끌어내리는 데 상당 부분 기여했다.
즉 근원적인 물가 상승 압력은 여전히 높은 가운데 유가가 물가 전체 흐름을 좌우하는 셈이다.
하지만 산유국들의 원유 감산 조치는 이런 방향성을 바꿀 소재가 될 수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소속 산유국들은 하루 116만 배럴 규모의 추가 감산을 3일 발표했다.
이 여파로 같은 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6% 폭등했다.
국제유가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국내 물가 역시 영향권에 들게 된다.
정부와 한은은 조만간 물가 상승률이 3%대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4%대, 5%대 고물가가 더 길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산유국들이 감산하면 국제유가가 오르게 되고 오른 가격은 순차적으로 국내 물가에도 반영된다"고 말했다.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 역시 물가 상승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요인이다.
공공요금은 그 자체로서 물가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 아니라 각종 재화와 서비스의 비용 요인으로서 간접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될 수 있다.
소관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요금의 경우 ㎾h당 10원 안팎으로 3∼4가지 인상안을, 가스요금의 경우 복수의 인상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 여론 수렴 등을 이유로 인상은 보류된 상태다.
[그래픽] 소비자물가 추이 |
◇ 4%대 초반 물가에 금리동결 명분 커졌지만 유가·한미금리차 변수
3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년 만에 가장 낮은 4%대 초반으로 떨어지면서, 오는 11일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3.50%)에서 동결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앞서 지난달 7일 물가 전망과 관련해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8%로 낮아졌는데, 3월의 경우 4.5% 이하로 떨어지고 연말 3%대에 이를 것으로 본다"고 말한 바 있다.
3월 상승률이 이 총재와 한은의 전망보다 오히려 더 낮고 경로에서도 벗어나지 않은 만큼, 무리하게 기준금리를 더 올려 경기 위축을 부추기기보다는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물가·환율·경기 등을 더 지켜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산유국 감산으로 유가와 함께 국내 물가도 다시 들썩일 경우, 한은은 언제라도 0.25%포인트 더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다.
이 총재도 최근 "우리(한은)는 국제 유가가 올해 배럴당 70∼80달러로 유지될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중국 경제 상황이나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라 유가가 90달러 이상 100달러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고, 공공요금 조정도 예정된 만큼 이런 변수들을 다시 봐야 할 것"이라며 유가 불확실성을 우려했다.
사상 최대 수준으로 벌어진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도 한은의 이번 인상기 최종 금리를 3.50%에서 3.75%로 끌어올릴 수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기준금리)를 0.25%포인트(4.50∼4.75%→4.75∼5.00%) 올리면서, 현재 한국 기준금리(3.50%)는 미국보다 1.50%포인트나 낮은 상태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이 총재는 여러 차례 "한미 금리차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고 강조해왔지만 커지는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과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을 무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기자간담회 하는 이창용 총재 |
spee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