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3 추념식 참석해 “통합”
올해는 불참…편가르기 노골화
지지율 하락에 보수 구애 의도
‘우편향’ 신호에 극우단체 극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제75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불참했다. 역대 대통령별로 참석 여부를 달리한 ‘추념식 정치’가 윤석열 정부에서도 연장됐다. 국민통합은 현재 윤 대통령 메시지에서 ‘정치적 사어’가 됐다. 분열에 기반한 국정운영을 이어간다는 지적이 불가피해 보인다.
윤 대통령은 제주 4·3평화공원에서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독한 추념사를 통해 “무고한 4·3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들의 아픔을 국민과 함께 어루만지는 일은 자유와 인권을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당연한 의무”라며 “정부는 4·3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생존 희생자들의 아픔을 잊지 않고 보듬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 발언은 지난해 당선인 신분으로 직접 추념식에서 발표한 내용과 궤를 같이한다. 당시 보수 정당 출신 대통령이나 당선인의 첫 추념식 참석이라는 점에서 통합 행보로 주목받았다. 2021년 10월 대선 경선 토론회에선 “양민 학살이라는 반인권적 행위를 정부가 저질렀다면 명확하게 진상을 밝히지 않고는 자유민주주의 국가라 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번 추념사에선 “정부가 저지른 반인권적인 행위”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4·3을 고리로 한 통합 행보 의미는 퇴색했다.
윤 대통령이 4·3 추념식에 불참한 데는 지지율 하락 상황에서 보수 지지층에 소구하려는 뜻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 당선부터 취임 직후까지 반짝 이어졌던 통합 행보가 이후 사실상 사라진 흐름의 연장선으로도 보인다.
윤 대통령은 당선 직후 대선 의미를 “통합의 정치 하라는 국민의 간절한 호소”라고 했다. 취임 일주일째에 한 국회 시정연설에선 “의회주의자”를 선언했고, 이틀 뒤 제42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선 “오월정신은 국민 통합의 주춧돌”이라고 했다.
하지만 최근 국민통합을 앞세운 대통령 메시지는 사실상 사라졌다. 각종 연설의 중심에는 ‘자유’가 자리했고 ‘통합’을 선명하게 언급한 적은 없었다. 대신 노동조합을 ‘부패세력’으로 규정해 적대시하거나, 대일외교 비판 여론을 ‘반일로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는 세력’으로 치부하는 발언 등이 이어졌다. 야당 대표와의 회동도 취임 이후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편가르기’ 국정운영 기조가 이어진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윤 대통령의 통합 행보 중단이 여권에 ‘우편향’ 신호로 작용하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5·18민주화운동 폄하 발언으로,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4·3 왜곡 발언으로 논란이 됐다. 이날 제주 곳곳에는 ‘4·3은 공산폭동’이라는 극우단체의 현수막이 내걸렸다.
민간인들이 대규모 희생된 사건을 두고 참석 여부를 달리하는 ‘추념식 정치’는 윤석열 정부에서도 연장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6년 역대 대통령 중 처음 4·3 추념식에 참석했다. 이명박·박근혜 정권 들어 현직 대통령의 추념식 방문은 이뤄지지 않았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8년을 포함해 임기 중 세 차례 참석했다.
유정인 기자 jeongin@kyunghyang.com
▶ 삼성 27.7% LG 24.9%… 당신의 회사 성별 격차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