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순자산 상위 1% 기준은 32억 8천만 원…부동산이 80% 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순자산이 32억 8천만 원을 넘으면 국내 순자산 상위 1%에 속하는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가구의 자산 중 80% 이상은 부동산이었으며, 주식 등 직접 투자 비율이 전체 가구 평균의 2배가 넘었습니다.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기준 상위 1% 가구의 기준선은 32억 7천920만 원이었습니다.

이는 표본 가구를 순자산 상위 순으로 나열한 뒤, 각 가구의 가중치를 고려해 상위 1%에 해당하는 가구의 순자산을 산출한 결과입니다.

2021년(29억 원)과 비교하면 순자산 상위 1%의 기준선은 3억 7천920만 원 올라갔습니다.

지난해 상위 1% 안에 드는 가구의 평균 자산은 53억 6천882만 원이었습니다.

이중 부동산 자산이 43억 7천249만 원이었습니다.

전체 자산의 81.4%에 해당합니다.

이는 전체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 비중(73.7%)보다 높습니다.

금융 자산은 9억 91만 원으로 16.8%를 차지했습니다.

금융자산의 84.8%가 저축액(7억 6천376만 원)이었습니다.

상위 1% 가구의 부채는 평균 5억 1천666만 원이었습니다.

여유자금 운용 방법으로는 상위 1% 가구의 60.3%가 저축과 금융자산을 꼽았습니다.

전체 가구 평균(47.9%)보다 높은 비율입니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은행 예금(45.8%), 주식 등 직접투자(26.5%) 순으로 높았습니다.

전체 가구와 비교했을 때 은행 예금은 20.8%포인트 낮고 주식 등 직접투자는 14.9%포인트 높았습니다.

전체 가구가 선호하는 금융자산 운용 방법은 은행 예금이 66.6%, 주식 등 직접투자는 11.6%였습니다.

상위 1% 가구의 펀드 등 간접투자 비율(8.6%)도 전체 가구(1.7%)보다 높았습니다.

여유자금을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는 상위 1% 가운데 38.4%에 그쳐, 의사가 없는 가구(61.6%)가 더 많았습니다.

전체 가구 중에서는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가 58.0%, 의사가 없는 가구가 42.0%였습니다.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상위 1%가 선호하는 부동산 유형은 아파트(51.8%), 상가·오피스텔 등 건물(29.9%) 순으로 높았습니다.

전체 가구보다 아파트 비율은 10.8%포인트 낮고 건물은 14.1%포인트 더 높았습니다.

상위 1% 안에 드는 가구의 소득은 평균 연 2억 1천632만 원이었습니다.

전체 가구 평균 소득(6천414만 원)의 3.4배 수준입니다.

근로소득이 9천328만 원, 사업소득이 3천985만 원, 재산소득이 7천247만 원이었습니다.

사업소득은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얻는 순수입을, 재산소득은 임대·이자·배당 등으로부터 얻는 소득을 각각 말합니다.

상위 1%의 근로소득은 전체 가구(4천125만 원)의 2.3배, 사업소득은 전체 가구(1천160만 원)의 3.4배였습니다.

전체 가구의 재산소득은 평균 426만 원에 그쳐, 상위 1%와의 격차는 17배에 달했습니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