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아상. [123RF]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육성연 기자] ‘소금빵’·앙버터·크로플(크루아상+와플)과 줄서서 먹는 일명 ‘핫플(핫 플레이스)’ 카페. 모두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장악한 아이템이다. 하지만 인기를 끌고 있는 유행 빵이나 유명 카페에서 판매하는 빵에는 건강에 이롭지 못한 성분이 일반 빵·제과점보다 더 많이 들어있을 수 있다.
“여긴 꼭 가야해” 유명 카페 빵…트랜스·포화지방↑
[123RF]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실 핫플 카페의 빵이 더 맛있는 이유는, 건강과 거리가 먼 각종 성분의 ‘활약’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서울·경기 지역의 유명 카페 20곳에서 판매하는 도넛, 케이크, 크루아상 등 20개 제품의 1회 섭취량(70g)을 조사한 결과, 포화지방은 평균 9g, 트랜스지방은 0.3g이었다. 이는 프랜차이즈 제과점 빵의 평균 함량에 비해 3배 높은 수준이다. 트랜스지방과 포화지방은 각종 성인병 유발 요인으로 지목되는 성분이다.
사실 카페 빵류의 영양성분 문제는 예전부터 지적을 받아왔다. 카페에서 판매하는 빵류는 ‘영양성분 표시의무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빵에 어떤 성분을 얼마만큼 넣었는지 소비자에게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야기다. 버터·마가린처럼 포화·트랜스지방이 많은 재료는 빵을 바삭하고 고소하게 만들기 때문에 업주 입장에서는 욕심나는 성분이기도 하다.
‘식지 않는 인기’ 앙버터·크로플…포화지방↑
앙버터(왼쪽)와 크로플. [SNS 캡처]·육성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들어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빵은 이러한 버터나 마가린 함량이 높은 빵이다. 2021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에 실린 김병희 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연구팀 연구에 따르면 서울 소재 베이커리의 주요 빵류 13종을 조사한 결과, 포화·트랜스지방이 가장 많은 빵은 앙버터와 크루아상이었다. 유명 카페에서 자주 등장하는 앙버터는 빵 사이에 팥 앙금과 함께 버터 조각이 한 움큼 끼워져 있다. 트랜스지방이 많은 마가린도 들어갈 때가 많다.
핫플 카페의 메뉴로 자리잡은 크로플 역시 버터 함량이 높다. 크로플은 크루아상을 와플팬에서 구운 빵이다. 크루아상의 켜켜이 있는 층은 버터를 많이 넣어 생긴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 자료에 따르면 일반 크루아상 1회 제공량(150g)의 포화지방 함량은 14.6g로, 1일 영양성분기준치의 97%에 달한다.
박은미 대림성모병원 영양사는 “시중에 판매되는 밀가루 빵은 정제 과정에서 영양분이 손실돼 영양가는 낮고 버터, 설탕 등으로 인한 칼로리는 높은 편”이라며 “특히 빵은 대체로 단맛을 내지만, 사실 나트륨도 굉장히 많이 들어있다”고 말했다.
요즘 인기 최고 ‘소금빵’…나트륨↑
소금빵 [SNS 캡처·123RF]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요즘 최고 인기를 누리고 있는 소금빵은 어떨까. 소금빵은 지난해 배달 애플리케이션 요기요에서도 주요 배달 메뉴인 치킨, 피자, 중식 등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주문 성장률 1위를 기록했다.
유행처럼 번지는 소금빵은 ‘시오빵’으로도 불린다. ‘시오(鹽)’는 소금을 뜻하는 일본어로, 소금빵도 일본에서 처음 나왔다. 반죽에 버터와 소금을 넣어 만든 소금빵은 표면에 토핑으로 소금이 또 올라간다. 제품에 따라 함량 차이가 나지만, 일반적으로 소금빵 1개의 나트륨 함량은 대략 400㎎으로 높다. 소금빵 외에도 치즈·햄·소시지가 들어간 빵들 역시 나트륨 함량이 높다.
박은미 영양사는 “지방·당분·나트륨 함량이 높은 빵을 과다 섭취할 경우 체중 증가의 우려가 있다. 이렇게 생긴 비만은 심리적·심미적 문제를 야기할 뿐 아니라 대사 질환의 위험도 높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가능한 섬유질과 영양소 함량이 높은 통곡물빵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gorgeou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