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행안부 · 국과수,'범죄조직 분류' 음성분석 모델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러 명의 음성 가운데 특정 보이스피싱 일당을 자동으로 분류해 낼 수 있는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이 개발됐습니다.

행정안전부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보통 수사관과 검사 등으로 역할을 교대로 바꾸며 범행을 저지르는 보이스피싱 일당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한국형 '보이스 피싱 음성분석 모델'을 개발해 이달 말부터 수사 과정에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행안부와 국과수는 음성분석 모델 중 이런 범죄조직 분류 기능 개발은 세계 최초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모델 개발로 일선 경찰서의 보이스 피싱 수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번 모델은 국내외 약 6,000여 명으로부터 추출한 100만 개 이상의 외국어와 한국어 음성데이터를 활용해 AI 딥러닝을 해 경찰이 기존 수사 과정에서 활용하던 외국산 모델에 비해 판독률 자체도 77% 향상됐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그 동안 경찰은 러시아와 영국에서 개발한 음성분석 모델을 사용해 왔습니다.

국과수는 새로 개발된 모델을 오는 2월 말부터 감정에 활용하고 경찰청과도 공유해 기관사칭, 전세 사기 등 다양한 음성관련 범죄 수사 전반에 적용해 나갈 계획입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한해 동안 보이스 피싱 범죄 발생 건수는 2만 1천 8백 건이 넘고 피해액은 5천 4백 억 원을 넘었습니다.

유덕기 기자(dkyu@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