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시리아 반군 지역 구호 태부족…"지진 전보다 지원 적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튀르키예 강진 최대 피해 지역 중 하나인 시리아 서북부 반군 지역에 대한 구호 활동이 여전히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MSF)는 19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현재 시리아 서북부 지역의 인도주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긴급한 구호 확대가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MSF는 "현재 반군 지역에 대한 국제사회 지원 규모는 강진 이전보다도 적다"면서 "턱없이 부족한 물량만이 국경을 넘어 수송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킴 할디 시리아 주재 MSF 대표는 "강진 발생 후 10일간 반군 지역으로 들어온 구호 물품 트럭 수는 작년 주간 단위 평균 수치보다 적었다"며 "현지의 구호 물품 재고는 이미 바닥난 상태"라고 전했습니다.

MSF는 구호 텐트 1천269개 등 구호 물품을 실은 트럭 14대가 '알-하맘' 경로를 통해 반군 지역에 들어갔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구호 물품 수송은 유엔의 인도주의 지원 절차 밖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MSF는 덧붙였습니다.

각국에서 인도주의 지원을 받는 튀르키예와 달리 시리아는 알아사드 정권 아래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어 직접 원조를 거의 받지 못했습니다.

지진 피해지역 구호물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2014년 결의 이후 유일한 통로가 돼 온 튀르키예와 시리아간 '바브 알하와'육로를 통해서만 전달되고 있습니다.

이후 유엔은 시리아 정부와 육로 2곳을 추가 개방하기로 합의했지만, 구호 단체들은 이들 경로를 통한 인도주의 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유엔 집계에 따르면 강진 발생 후 시리아 서북부로 전달된 구호품은 트럭 170대 분량에 불과합니다.

이 지역 이재민은 45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데이비드 비즐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은 18일 로이터 통신을 통해 "시리아 서북부에 대한 접근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구호 물품 전달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며 "이는 즉시 해결돼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시리아는 그동안 튀르키예와 시리아 서북부 국경을 통한 구호물자 지원에 대해 주권 침해라고 반대하면서 다마스쿠스를 통해 원조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반군 측은 구호품 전달에 알아사드 정부가 개입하는 것을 반대합니다.

소환욱 기자(cowbo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