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아마존, 자율주행 택시 사업에도 뛰어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율주행 자회사 '죽스'와 美서 로보택시 시험 운행

시장 출시일정 언급 안해…정부 추가 승인 필요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미 대표 빅테크(거대 기술기업) 아마존이 자율주행 택시(로보 택시) 사업에도 뛰어들었다.

이데일리

(사진= 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지난 11일 자율주행 자회사 ‘죽스’와 함께 로보 택시로 직원 셔틀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운영했다고 이날 밝혔다.

시험 운행은 죽스 본사가 있는 캘리포니아 포스터시티에서 이뤄졌으며, 직원들을 태우고 1마일(약 1.6km) 떨어진 두 건물 사이를 오고 가는 무료 셔틀 서비스였다.

죽스의 자율주행 택시는 기존 자동차를 자율주행용으로 개조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자율주행차로 만들어졌다. 핸들과 페달이 없으며, 승객 한방향에 두사람씩 4명이 마주보고 탑승할 수 있다.

아이차 에반스 죽스 최고경영자(CEO)는 기자들과 컨퍼런스콜에서 “차량을 개방된 공공 도로에서 운행하고, 규제를 포함한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검증하는 것은 큰 진전”이라며, 자율주행 택시의 상업화를 위한 시도였다고 밝혔다.

다만, 에반스 CEO는 상업적인 출시 일정에 대해서는 언급을 거부했다. 로이터는 상업 서비스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추가 승인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동차업계에서도 자율주행차를 출시한 곳은 아직 많지 않다. 로이터는 “자율주행 기술은 난이도가 높아 당초 기대만큼 빠르게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포드와 폭스바겐은 지난해 자율주행 사업부를 폐쇄했고, 제너럴모터스(GM)와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GM의 자율주행 자회사인 크루즈와 알파벳의 자율주행 사업부 웨이모는 작년부터 샌프란시스코에서 로보택시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한편, 아마존은 자율주행 기술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2020년 9월 죽스를 13억달러(약 1조6500억원)에 인수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