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차세대 스마트폰

4000만대 더 팔아도 매출 '반토막'…갤럭시, 접어야 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승한 기자] [편집자주]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위기에 빠졌다. 수년째 '스마트폰 세계 1위'를 지키지만, 최근 프리미엄폰은 애플에 밀리고 중저가폰은 중국업체에 쫓기는 이른바 '넛 크래커(nut-cracker)' 신세가 됐다. 특히 삼성만의 기술 경쟁력, 브랜드 충성도가 빠르게 하락한다는 우려도 크다. 전문가들을 통해 삼성 스마트폰 위기론과 반전을 위한 해법을 진단해본다.

[MT리포트-위기의 삼성폰, 돌파구 찾아라]④고가제품 많이 판 애플 매출 '쑥쑥'...삼성은 70%가 중저가

머니투데이

지난해 9월 출시된 아이폰14 프로. /사진=애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애플보다 많이 팔지만 실속이 없다."

삼성은 스마트폰 판매량 글로벌 1위지만, 매출은 애플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 위주인 애플과 달리 중저가 라인업에 치중된 삼성의 판매구조 때문이다. 애플보다 매년 4000만대 많은 판매량에도 삼성이 웃지 못하는 이유다. 삼성은 선제적으로 개척한 폴더블폰을 대중화해 애플의 프리미엄폰 아성을 넘어선다는 계획이나 아직은 갈길이 멀다.


애플 아이폰만 팔아도 54조...삼성은 태블릿·워치 포함해도 32조

머니투데이

9일 애플의 연결재무제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애플 회계연도 4분기) 애플은 아이폰으로만 426억달러(약 54조1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체 매출(901억달러)의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X(모바일경험)사업부의 매출은 32조2100억원이다. 애플의 아이폰 매출보다 22조원 적다. MX사업부 매출에는 네트워크, 태블릿, 스마트워치 수익도 포함돼 있는데, 이를 제외하면 애플과의 격차는 더 벌어진다.

게다가 1년 중 애플의 수익이 가장 많은 4분기에는 애플과 삼성의 매출 차이는 3배까지 벌어진다. 2021년 4분기 애플의 아이폰 매출은 716억달러(약 91조원)인 반면, 삼성전자 MX사업부 매출은 3분의 1 수준인 28조9500억원이다.

애플은 판매 제품 80% 이상이 고가 프리미엄 라인업에 집중된 반면 삼성은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의 70~80%가 갤럭시A·M 등 중저가 제품이다. 삼성이 애플보다 연간 4000만~5000만대 많은 스마트폰을 팔면서도 매출은 절반 수준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삼성전자는 2021년 기준 연간 2억7300만대, 애플은 2억3700만대의 스마트폰을 판매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400달러(도매가 기준·약 54만원) 이상 프리미엄 시장에서 애플은 57% 점유율로 압도적인 1위다. 삼성전자는 애플에 이어 2위에 올랐지만 점유율은 19%에 그쳤다.


"프리미엄 시장 잡자"...폴더블폰에 역량 집중하는 삼성

머니투데이

삼성전자가 지난해 8월 출시한 갤럭시Z폴드4. /사진=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결국 삼성은 수익구조 개선과 프리미엄폰내 위상강화는 폴더블폰의 성패에 달려있다. 지난해 8월 갤럭시언팩 행사에서 노태문 MX사업부장(사장)은 "프리미엄 시장 공략을 위해 폴더블폰 연간 판매량을 3년 내 3000만대까지 끌어올리고, 2025년까지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량 중 50% 이상을 폴더블폰으로 채울 것"이라고 밝힌 것도 이 때문이다.

업계에서도 이를 긍정적으로 본다. 전자 업계 한 관계자는 "중저가 개발 역량을 폴더블폰에 집중해 중국과 애플이 따라오지 못 할 정도로 기술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며 "이것이 삼성폰의 프리미엄 경쟁력과 매출을 높이는 유일한 카드"라고 말했다.

다만 삼성이 목표로 하는 '폴더블폰 대중화'는 아직 갈길이 멀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연간 판매량은 1200만대 안팎으로 추정된다. 아직 삼성전자 전체 스마트폰 연간 판매량의 4%에 불과하다. 프리미엄 시장 공략에 앞서 보급률부터 끌어올려야 할 처지다.

폴더블폰 대중화를 위한 선결과제도 적지않다. 당장 업계 전문가들은 폴블폰의 장점을 극대화할 킬러서비스나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일반 바타입에 비해 부족한 배터리 성능이나 디스플레이 해상도, 취약한 내구성 개선도 숙제로 남아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접히고 휴대성이 좋다는 점외에 이용자를 매혹시킬만한 장점이 아직 눈에 띄지 않는다"면서 "하드웨어적 한계를 단기간 내에 극복하기 어렵다면 개발툴을 오픈해서라도 폴더블용 킬러 서비스를 적극 발굴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폴더블폰뿐만 아니라 갤럭시S 등 다른 프리미엄 라인업의 브랜드 가치와 기술력를 제고하는 방안도 고민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